
새마을운동은 70년대 우리도 한번 잘살아보자며 시작된 지 30년만에 국민소득 1만달러 시대를 이끈 원동력이 되었으며 근면, 자조, 협동의 정신으로 ‘하면 된다’ ‘할 수 있다’는 국민적 신념과 자신감을 불러일으킨 정신운동이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런데 판단력이 미약한 학생들에게 ‘장기 집권수단’이었고 농촌 생활환경을 향상시키거나 소득을 높이기보다는 농촌의 겉모양만 바꾸는데 치중했다는 등 비판적 사고로 미래의 민주시민을 가르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어려운 시기에 우리도 한번 잘 살아보자는 새마을운동이 농촌에서부터 시작하여 전국 방방곡곡에 요원의 불길처럼 타올랐던 운동으로 광복이후 우리국민이 평가한 가장 잘했다는 일을 왜곡하고 폄훼해서는 안 된다.
우리 속담에 있듯이 ‘벼룩 잡겠다고 초가삼간을 태우는’ 우를 범하거나 정쟁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 정부는 교과서 검정위원회를 하루빨리 열어 냉철하게 재검토하고 잘못된 부분은 수정해야한다.
지난 30여년간 세계 160여 개국에서 4만여명의 외국인이 새마을운동을 배우러왔으며 그리고 UNDP의 농촌개발 및 빈곤퇴치의 모범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우리 새마을지도자들은 애국, 애족, 애향의 정신을 묵묵히 실천하여 지난 1998년 IMF환란시 금모으기 운동을 주도했던 전국 230만 새마을지도자들은 각기 지역에서 어려운 이웃을 위해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위해 그리고 국가와 민조그이 장래를 생각하며 묵묵히 땀흘리고 있다.
고장사랑, 나라사랑을 실천하고 있는 새마을지도자의 진실이 왜곡되어서는 안 된다. 객관적이고 균형 잡힌 시각에서 새마을운동에 대한 올바른 평가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영암신문
yanews21@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