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체·자립·관광형 선도마을 25개 선정
정·이야기가 있는 마을 브랜드 육성지원

영암군 25개 마을이 공동체의 정·이야기가 살아있는 브랜드 마을로 변모한다.

올해를 ‘영암형 마을브랜드 모델구축 원년’으로 삼은 영암군은 지난달 27일 ‘정담골 영암100 프로젝트’ 참여 마을을 최종 선정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마을주민이 자신들의 고유 자원과 정체성을 바탕으로 마을 브랜드를 만드는 등 지속가능한 발전 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하는 노력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정담골은 ‘영암의 정과 공동체의 이야기가 살아있는 마을’, 영암 100은 ‘100가지 풍경이 있는 마을’의 의미를 담고 있다.

영암군은 지난 7월부터 이번 프로젝트를 효율·종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마을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7개 부서 9개 팀, 중간지원조직을 묶어 협업회의를 진행해 왔다. 이어 지난 9월, 29개 마을에서 제출한 계획을 바탕으로 서면·현장심사, 협업회의 등을 거쳐 프로젝트 선도마을 및 예비 선도마을 ‘공동체형’ 13곳, ‘자립형’ 3곳, ‘관광형’ 9곳을 선정했다.

공동체형 선도마을에 선정된 미암면 월창마을은 주민참여 ‘으뜸마을만들기’ 사업으로 마을환경 개선, 경관 정비, 축제·교류 활동을 활발히 추진하며 돌봄문화 정착에도 모범을 보인 곳이다.
자립형 대표마을인 서호면 송산마을은 주민들이 경로당작업장에서 만든 다육이 화분을 판매하고, 자원 재활용과 에너지 자립마을 등 친환경 사업으로 이름을 알리고 있다.  

관광형 선도마을인 군서면 모정마을은 주민자치조직인 풍물단·차회·청년회·부녀회를 중심으로 사계절 축제, 유학프로그램, 치매안심마을 등 전국 12개 시·군에서 벤치마킹할 만큼 널리 알려졌다.  

영암군은 정담골 프로젝트를 각 지정된 마을이 추진해 나갈 수 있도록 △컨설팅 △배움여행 △네트워크 구축으로 본격 지원에 나선다. 

이달 27일 ‘영암군 어울림한마당’에서는 선도마을 및 예비선도마을 지정서를 수여한다. 내년 2~5월에는 집중 컨설팅으로 지정마을의 역량을 강화하고, 주민자치로 계획을 실천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 

컨설팅에는 마을공동체지원센터, 농촌활성화지원센터, 외부전문가, 마을활동가 등이 참여해 마을별 발전 방향수립, 마을 브랜드 설립을 돕고 이어 지정마을 리더를 위한 소통·운영 교육과 전문화를 위한 배움여행도 순차적으로 추진한다. 

또 현재 구축 중인 ‘스마트 마을정보 통합 플랫폼’을 지정마을들이 서로의 경험·성과를 공유하는 네트워크로 활용하게 만들 예정이다. 동시에 이 플랫폼을 영암군 전체 430개 마을 자료와 사업 데이터들도 종합 관리하는 아카이브로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영암군은 이번 프로젝트가 개별마을의 성장을 넘어 지역 전체 마을이 동반 성장하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영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