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여파·축제 취소 탓…1분기 18,400여 명 감소
정부 보통교부세 확보 ‘비상’…열악한 재정 더 악화 우려

올해부터 지방자치단체에 배분되는 정부의 보통교부세 산정 기준에 ‘생활인구’가 반영되면서, 영암군은 관광 활성화를 통한 생활인구 증대에 행정력을 집중해왔지만, 올해 1분기(1~3월) 생활인구가 전년 대비 큰 폭으로 감소, 내년 재정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행정안전부가 최근 발표한 ‘2025년 1·4분기 생활인구 통계’에 따르면, 영암군의 1분기 평균 생활인구는 17만2천946명으로 지난해 19만1천92명보다 약 1만8천146명이 감소했다.
해남군의 경우 올해 월평균 25만5천400명에 달하고 있지만 2027년까지 월평균 50만명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어 대조를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영암군은 현재 주민등록 인구 5만명 선을 간신히 유지하고 있으나 인구 유출이 지속될 경우 ‘5만 붕괴’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 3월 체류인구 급감…구제역으로 축제 취소 여파 커
올해 1분기 월별 체류인구를 보면 ▲1월 19만3천167명 ▲2월 14만3천772명 ▲3월 18만1천89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1월 15만5천818명 ▲2월 20만4천302명 ▲3월 21만3천157명로 나타났으며, 특히 2~3월 체류 인구는 3만 명 이상 급감한 수치다.

예년 봄철에는 왕인박사문화축제 등 대형 행사를 중심으로 외부 방문객이 대거 몰렸으나 올해 구제역으로 인한 축제 취소로 외부 체류 인구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생활인구는 주민등록 인구 외에도 통근·통학·관광 등으로 하루 3시간 이상 머문 체류인구를 포함한 지표로, 지역의 실질적 활력을 보여주는 핵심 데이터다.

따라서 이번 감소는 단순한 생활인구 수치 하락을 넘어 지역경제와 상권의 활력 저하로 직결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 생활인구, 교부세 산정 핵심 지표…영암군 ‘재정 리스크’ 커져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12월 ‘2025년 보통교부세 개선방안’을 입법예고하고, 생활인구를 교부세 산정 기준에 신설했다.

이는 지역이 주도하는 지방시대를 실현하기 위한 조치로, 전국 89개 인구감소지역을 대상으로 주민등록 인구 + 외국인 등록 인구 + 월 1회 이상·3시간 이상 체류한 인구를 더해 산정한다.

이에 따라 영암군의 생활인구 감소는 내년 교부세 배분액 축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재정 운용에 적잖은 부담이 예상된다.

영암군은 이에 앞서 지난 2월 관광정책에 대한 세부계획을 마련, 관광 활성화를 통한 생활인구 증대에 전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 소비위축·지역경제 기반 취약…인구활력 회복 위한 전략 시급
전문가들은 “생활인구 감소는 단기적으로는 소비위축, 장기적으로는 지역경제 기반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청년층 정착 유도, 축제·관광 콘텐츠 재활성화, 체류형 일자리 창출 등 종합적인 대응 전략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영암군의 올해 1분기 체류인구 배수는 3.2배, 재방문율은 53.4%로 전국 평균(39.8%)을 크게 웃도는 수준을 보였다. 평균 체류일수 또한 전국 평균 3.5일에 비해 영암은 5.6일로 길었으며, 체류인구가 영암에 머물며 사용한 카드 소비액은 1인당 15만 1천 원으로, 전국 평균(11만 9천 원)을 상회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체류인구 감소 속에서도 영암을 찾는 방문객의 소비력이 높다는 점에서 지역경제 잠재력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평가를 낳고 있다.        

저작권자 © 영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