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대대책위, 뒤늦은 주민설명 한전 규탄 ‘저지’
한전, 지역 균형발전 핵심기반, 보상 확대·지원
신해남-신장성 초고압 송전선로 영암지역 주민설명회가 고압송전선로와 철탑건설 반대를 위한 영암군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의 저지로 또다시 무산됐다.
한국전력공사는 345kv 신해남-신장성 건설사업의 입지선정 경과에 대해 지난 10월 14일 갖기로 했던 주민설명회가 무산돼 29일 재개키로 했지만, 이날도 대책위의 저지로 무산됐다.
대책위는 이날 오전 한국트로트가요센터 앞에서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전 규탄대회를 갖고 사업 백지화를 요구하며 주민설명회를 원천 봉쇄했다.
이날 주민설명회는 설명회를 강행하려는 한전 측과 대책위 관계자 간 설전만 오가면서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한전 측은 “머리띠나 조끼를 착용한 인원은 입장을 제한하겠다”고 하면서 대책위와 실랑이가 벌어지는 등 긴장된 분위기 속에서 사업 추진의 배경과 필요성에 대해 대책위 관계자에게 조목조목 설명했다.
대책위의 “영암주민을 위해 선로를 건설한다는 말이 맞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한전은 “전남 지역에 약 20.8GW 규모의 태양광 발전설비가 설치되어 있으나, 송전망 부족으로 상당수가 전력 계통에 접속하지 못하고 발전이 제한되고 있다”며 “이러한 신재생에너지의 원활한 접속과 전력계통 보강을 위해 345kV 송전선로 건설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대책위의 “주민에게 알리지 않고 사업을 추진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관련 법령에 따라 절차를 밟아 주민설명회를 열고 있으며, 현재도 사업 진행 단계에 있다. 아직 확정이나 착공이 이뤄진 것은 아니다”고 해명했다. 한전은 “이번 설명회는 주민에게 사업의 취지와 추진 현황을 알리기 위한 과정”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대책위는 한전의 설명을 강하게 반박했다. 대책위 측은 “이번 사업으로 영암군민에게 돌아오는 실질적 이익은 전혀 없고, 전력은 수도권이나 대기업 산업단지로 송출될 뿐”이라며 “사업 백지화 없이는 설명회 자체를 들을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또 “사업 초기부터 주민들에게 충분한 사전 고지나 의견 수렴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됐다”고 비판했다. 결국, 대책위는 설명회 중간에 회의장을 집단 퇴장하며 “백지화 이전에는 어떤 협의도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시키며 주민설명회는 또다시 수포로 돌아갔다.
한편 한전 측은 앞으로 송전선로 경과대역의 마을을 찾아 주민 의견을 지속적으로 청취하며 절차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