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나주박물관 기획전 10월 1일부터
시종 고분군 등 260여 점 전시· 체험도
영산강 유역 고대사회를 살펴볼 수 있는 다양한 요인 중 빼놓을 수 없는 것 중 하나가 장례 풍습이다. 독널 무덤은 영산강 고대 사람들의 독창적인 문화를 엿볼 수 있다. 영산강 유역에서는 지금까지 독널 외에도 다양한 유물들이 발굴됐다. 독널 무덤의 축조방식과 그 안에서 발굴된 다양한 유적을 볼 수 있는 전시가 열린다.
국립나주박물관은 10월 1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 특별 기획전을 연다. ‘흙으로 만든 널, 고요한 위엄: 고대 영산강 유역 사람의 마음을 담다’를 주제로 펼쳐지는 이번 기획전은 토기, 청동거울, 청자 잔, 항아리 등 260여 점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에서는 나주 반남 고분, 영암 시종 옥야리 고분, 쌍무덤 등지에서 발굴된 고대 유물 등을 볼 수 있다. 영산강 유역 토착세력의 장례 풍습과 문화 등을 가늠할 수 있다.
특히 전시의 주 내용은 독널 무덤이다. 당대 지역 세력의 사회·문화 양상을 엿볼 수 있는 축조기술을 살펴볼 수 있다. 독널 무덤은 다른 고대사회 무덤과는 변별되는 특징을 보인다. 한 봉분 안에 다수 독널을 넣은 ‘다장’(多葬) 무덤 형식을 띤다. 흙으로 봉분을 쌓고 정상 부근에 독널을 묻는 이른바 ‘선분구 후매장’ 방식이 통용됐다.
이 같은 ‘다장’은 후일 친족이 사망하면 동일한 봉분에 독널을 추가하는 방식이다. 같은 봉분 안에 10여기까지 독널을 추가하는 ‘추가장’이 이뤄졌는데 이때 무덤 위쪽은 장식을 꾸며 위엄을 갖추게 했다. ‘분주토기’라 불리는 원통모양 토기는 장식적 효과를 드러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