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군이 제2회 추가경정예산을 확정했다. 총 8천260억 원 규모로, 제1회 추경보다 425억 원 늘어난 수치다. 이는 군 재정 운영의 확장 기조를 보여주면서도 건전재정 관리의 필요성 또한 일깨운다.

특히 눈길을 끄는 부분은 예산 편성의 방향이다. 군은 고물가·고금리 등 대외 여건 악화를 고려해 군민 생활 안정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초점을 맞췄다. 소비쿠폰 지급,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농어촌 간호복지 기숙사 건립 등이 대표적 사례다. 이는 당장의 체감 효과를 높이는 민생형 정책으로 긍정적 평가가 가능하다.

농업 분야에서도 농작물 재해보험료, 조사료 생산 지원, 청년농업인 정착지원 등 농가소득 안정과 미래세대 육성을 동시에 꾀한 점이 주목된다. 지역의 뿌리를 지키는 정책으로, 장기적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다만, 일부 사업은 우려가 남는다. 트로트 아카데미 조성, 문화관광 인프라 확충 등은 필요성을 인정하더라도, 우선순위 논란이 일 수 있다. 한정된 재원을 어디에 더 집중해야 하는지 군민적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

삭감된 홍보전략실 예산은 행정의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려는 의지가 읽히지만, 여전히 재정 운영의 효율성에 대한 지속적 점검이 요구된다.

또한 대불국가산단 활성화 예산은 지역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필수적 투자지만, 단순히 기반만 조성하는 데 그쳐서는 안 된다. 기업 유치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전략적 연계가 뒤따라야 한다.

이번 추경은 단순한 숫자의 증액이 아니라, 민생과 경제를 지탱하는 군정 철학의 시험대다. 군민이 체감하는 변화로 이어지지 못한다면, 의미는 반감될 수밖에 없다.

영암군은 이번 추경을 통해 보여준 ‘균형’의 원칙을 지켜야 한다. 단기 민생 안정과 중장기 성장 동력이 조화를 이루는 예산 집행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군민이 낸 세금이 ‘살림살이의 실질적 향상’으로 되돌아올 수 있도록 꼼꼼하고 투명한 재정 관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저작권자 © 영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