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출산 벚꽃 백 리 길[196]
■ 구림마을(106)
땅속에 묻힐 뻔한 정원명석비
2006년 발간된 책자인 「호남명촌 구림」에 ‘정원명석비’를 발견하게 된 구체적인 경위가 잘 묘사되어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옛날부터 구림 사람들은 모정마을로 올라가는 언덕길 못미처 새원머리로 들어가는 갈림길을 ‘비석거리’라고 불러왔다. 이 비석거리에는 연대를 알 수 없는 오래된 비가 하나 세워져 있었는데 임자 없는 이 비석은 사람들의 무관심 속에 버려져 오랜 세월 동안 돌보지 않아 넘어져 흙 속에 묻혀 있었다.
1962년경 신흥동마을 사람들이 울력으로 도로 정비를 하던 중 마을 가운데로 흐르는 도랑(실개천)에 다리를 놓을 때 버려진 비와 통나무를 상판(上板)으로 다리를 만들었다. 그 후 2~3년이 지난 1965년에 골목 정비 사업으로 면사무소에서 시멘트 토관을 배당받아 다리 상판을 교체하게 되었는데 이때 묻은 흙을 털어내고 씻어보니 묘비석이 아니고 마을 사람들이 해석할 수 없는 글이 음각되어있는 것을 발견하고 보통 비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영원히 땅에 묻히거나 없어질 뻔한 중요한 문화재가 빛을 보고 보존될 수 있었다. 결국 다시 세울 장소를 모색하다가 신흥동에 거주하는 최정호가 ‘우리집 터도 넓고 하니 우리 터에 우선 세워놓도록 하세’하는 제의를 받아들인 것이 서구림 신흥동 458번지에 이 비가 세워진 연유이다.”
<출처: 호남명촌 구림, p. 211~212>
이 비석은 원래 신흥동에서 모정마을로 통하는 길목 아래 오랫동안 세워져 있었으며 그래서 그곳을 ‘비석거리’라고 불렀다고 한다. 그렇다면 구림마을에 거주했던 옛 지식인들은 이 비석의 정체를 충분히 알고 있었을 거라 짐작된다. 여러 가지 문헌을 살펴보던 중 태호 조행립의 문집에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다. 태호는 70세 때 구림마을 회사정에 올라 서호 풍경을 바라보다 흥에 겨워 7수의 시를 지었다. 그는 네 번째 수에서 석비의 정체가 매향비(埋香碑)라는 것을 명확하게 밝히고 있다. 그가 읊은 7수 중에서 첫 번째와 네 번째 수의 시를 소개한다.
흥취를 풀면서 읊다[遣興吟]
쓸쓸한 바위 옆 서재에서 낮잠으로 혼미할제
회사정 남쪽 이랑엔 풀 향기 솔솔나네
서호에 내리는 비는 주룡강의 비와 닿아있고
동악의 구름은 가학산의 구름과 이어졌네
양쪽 언덕의 복숭아꽃은 조각조각 날리고
한 개울의 흐르는 물은 빠르게 달려가네
인생 칠십 세에 봄이 장차 저물려고 하니
곧장 맑은 술 대하여 또 반쯤 취해 보세
寥落巖齋午睡昏 社亭南畔草香薰
西湖雨接駐龍雨 東嶽雲連駕鶴雲
兩岸桃花飛片片 一溪流水去沄沄
人生七十春將暮 直對淸樽又半醺
향을 묻었다는 비석이 있는 곳 바로 서호인데
그 앞엔 흰 돌이고 푸른 버들이 짝을 하네 초나라 키와 오나라 돛대 잇달아 정박해 있고
모래톱에 갈매기와 물가 바위의 백로가 오가며 부르네
연기와 안개 낀 외로운 섬에서는 고기 그물 거두고
소나무 대나무가 무성한 큰 마을 술 팔기를 일삼네
벼슬을 사직하고 돌아와 이곳에 의지하니
담담한 신세 즐기기에 충분하네
埋香碑處是西湖 白石其前翠柳偶
楚柁吳檣連續泊 沙鷗磯鷺往來呼
烟霞孤島收漁網 松竹雄村事酒沽
解紱歸來依此地 淡然身世足歡娛
<출처: 태호집 p. 408~410>
허목(許穆, 1595~1682)의 월출산 유람기에 기록된 매향비
조선 후기 이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미수(眉叟) 허목은 월출산을 유람한 뒤 ‘월악기’라고 하는 기행문을 남겼다. 이 기행문 말미에도 매향비에 관한 표현이 들어 있다.
“구림에도 입석이 있고, 서호(西湖)의 석포(石浦)에도 입석이 있는데, ‘모년 모월에 향(香)을 묻었다’라고 새겨져 있다. 입석의 연월 글자는 마멸되어 볼 수 없었다.”
(鳩林又有立石 西湖石浦 又有立石 刻曰某年某月埋香 其年月字 漫滅不可見)
<출처:한국고전번역원,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1992>
이 기행문은 허목의 문집인 《기언(記言)》 제28권에 수록되어 있다. 허목은 1640년 9월에 영암 월출산을 유람한 뒤 구림마을에 들러 서호 석포에 있는 매향비를 살펴보고 기행문에 수록했다. 이것은 태호 조행립이 남긴 시보다 10년 앞선 기록이다. 이 기록으로 보아 이때도 비문이 거의 마멸되어 전문을 알아보기 힘든 상태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호(西湖)의 석포(石浦)는 어디일까?
미수 허목의 기행문에서 ‘서호(西湖)의 석포(石浦)에도 입석이 있는데’라는 대목이 나온다. 서호(西湖)의 석포(石浦)는 구체적으로 어느 장소를 말하는 것일까?<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