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정면의 대봉감은 오랜 세월 지역을 대표하는 특산물로 자리 잡아 왔다. 그러나 해마다 반복되는 밭떼기 거래는 농민의 정당한 소득을 빼앗고 유통 구조의 왜곡을 심화시켜 왔다. 대봉감 가격 예고제의 본격 시행은 이러한 구조적 문제를 개선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
밭떼기 거래는 수확 인력과 유통망이 부족한 농가, 특히 고령 농민들에게 불가피한 선택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이는 결국 중간 상인들의 이익만 키우고, 생산자의 몫은 줄어드는 악순환을 낳았다. 이번 가격 예고제는 포전거래의 기준 가격을 사전에 제시하여 농민이 제값을 받을 수 있는 최소한의 안전망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또한, 금정농협과 영암군이 손을 잡고 공동출하 협약을 맺은 것은 대봉감의 가치 보존과 안정적 유통망 구축을 위한 긍정적 시도라 할 수 있다. 특히 20kg 한 상자당 최대 1만 원의 지원금은 생산자들의 부담을 줄이고 시장 가격의 급격한 하락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제도가 단순히 선언에 그쳐서는 안 된다. 심의위원회의 가격 산정 과정의 투명성과 객관성이 담보되어야 하고, 예고된 가격이 실제 거래에서 제대로 지켜지도록 관리·감독 장치도 마련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농가의 신뢰를 얻지 못하고 또다시 밭떼기 거래로 돌아갈 가능성이 있다.
올해 대봉감은 저온 피해와 낙과로 착과량이 크게 줄어 전년 대비 64%나 감소했다. 생산량 급감은 가격 불안정을 심화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농민들의 생계에도 직결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격 예고제는 단순한 유통제도 개선을 넘어 농가소득 안정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필수적 장치라 할 수 있다.
농협과 지자체는 이번 제도가 일시적 조치에 그치지 않고 지속 가능한 농업 정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을 서둘러야 한다. 농업인의 권익 보호와 지역 특산물의 가치를 높이는 것은 단순히 한 지역만의 과제가 아니라 우리 농업 전체의 미래와 직결된 문제다.
금정 대봉감 가격 예고제가 농민의 웃음을 되찾고, 지역 농업의 새로운 도약을 이끄는 마중물이 되기를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