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불국가산업단지에서 또다시 노동자가 추락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올해만 세 번째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도 불구하고 유사한 사고가 되풀이되는 현실은 현장 안전관리가 여전히 보여주기식에 머물고 있음을 방증한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사업주나 경영책임자에게 책임을 묻지만, 실질적인 안전 예산 확보와 예방적 투자가 없으면 현장에서는 여전히 위험이 반복된다. 하청·재하청 구조에서 ‘책임 떠넘기기’가 발생하면 실질적인 관리 주체가 불분명해지고, 결국 노동자만 희생되는 악순환이 이어진다. 추락은 산업현장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예측 가능한 위험 가운데 하나다. 그럼에도 안전망 설치, 안전벨트 착용, 사전 점검 등 기본 조치조차 제대로 지켜지지 않아 목숨을 잃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면, 이는 단순한 불행한 사고가 아니라 구조적 관리 부실이다.

대불산단은 이미 ‘전국 최고 교통사고 지역’이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 여기에 산업재해의 사각지대라는 오명까지 덧씌워진다면, 지역 경제와 이미지 전체가 치명타를 입을 수밖에 없다. 산업단지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지역 공동체의 신뢰를 위해서라도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가 됐다.

이제는 처벌 강화만으로는 부족하다. 기업은 안전을 비용이 아닌 투자로 인식해야 하며, 산업단지 차원의 종합안전관리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 지자체, 노동청, 관리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안전협의체를 통해 사전예방 중심의 시스템을 정착시켜야 한다.

결국, 대불산단이 다시 일어서기 위해서는 단순한 처벌이나 사후 대책이 아닌 예방 중심의 안전문화 정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노동자의 생명이 지켜지는 현장이 곧 기업 경쟁력과 지역 발전의 기반이 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때이다.

다시 말해, 노동자의 생명은 기업 경쟁력의 바탕이자 지역 발전의 초석이라는 점이다. 반복되는 죽음을 더 이상 외면한다면 대불산단의 미래 역시 없다. 지금이야말로 근본적인 안전 혁신에 나서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영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