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 일부 농가를 제외하고 구제역 이동제한 조치가 해제되고, 16일 가축시장이 재개장했다. 지난 3월 13일 구제역 발생 이후 무려 94일 만이다. 최종 검사 결과 바이러스가 더 이상 검출되지 않아 구제역이 종식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자연감염 항체 보유·무증상 농가 등 8개 농가는 약 3주간 이동제한이 유지된다고 한다.
그동안 문을 닫았던 도포면 영암축협 가축경매시장도 재개장 첫날 138개 농가에서 348두의 소가 거래되어 옛 모습을 되찾았다. 비록, 아픔을 안겨주었지만 다행스런 일이다.
이번 구제역 사태는 지역사회와 축산업계에 큰 충격을 안겨주고 여러 중요한 교훈을 남겼다.
먼저, 초기 대응의 중요성이다. 조기 발견과 신속한 대처가 확산 여부를 결정짓는 핵심임이 드러났다. 초기 증상 포착과 신고체계 강화 없이는 지역 전체가 위험해진다는 사실을 알렸다.
정부의 관리도 중요하지만, 농가 스스로의 방역 습관과 책임의식이 기본이다.
두 번째, 농가의 방역 책임 강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이다. 일부 농가는 백신 항체 형성률이 낮았거나, 위생 관리가 미흡해 감염을 키웠다. 농가 스스로의 자율적 방역의식 부족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세 번째, 가축 이동 관리의 취약성이다. 구제역 확산은 주로 가축의 지역 간 이동과 관련돼 있다. 감염 의심 축이 타 지역 경매장에 출하된 사례도 있어, 이동제한 시스템이 허술했다는 지적이다. 가축 유통과 이동에 대한 철저한 사전검사와 통제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끝으로 일부 농가에서는 정부의 이동제한이나 살처분 명령에 불신을 드러냈다. 방역 당국의 정보 제공과 소통 부족이 불신을 키웠다는 지적이다. 위기 상황일수록 주민과의 소통, 투명한 정보 공개가 신뢰 확보의 열쇠다.
이번 구제역 사태는 단순히 가축 질병 문제를 넘어 지역경제 전반에 막대한 타격을 주었다.
그리고 위기 시 얼마나 취약한지를 여실히 보여줬다. 영암군의 종합적 위기관리 역량 강화도 필요한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