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사태로 2개월 이상 이동제한이 유지되면서 축산농가는 물론 지역경제가 전례 없이 깊은 침체기에 빠져들고 있다. 그동안 축제를 비롯한 각종 모임·행사가 취소되면서 가뜩이나 어려운 지역경제가 더욱 침체되어 썰렁한 분위기가 지속되고 있음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그나마 다행스런 것은 지난 21일부터 군서·신북면 방역대의 이동제한이 대부분 해제되어 ‘숨통’이 다소 트였다는 점이다.
이번 해제가 가능했던 것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영암군의 제안을 수용해 구제역 이동제한 및 해제검사 관련 조치를 대폭 완화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영암군은 이에 앞서 장기간 구제역 이동제한으로 축산농가의 경영난이 악화되고 있는 지역의 사정을 알리고 농식품부와 전라남도에 방역조치 완화를 꾸준히 건의해왔다고 밝혔다. 즉, 기존 방역대 전체 단위에서 개별농가 단위로 관리방식이 전환되면서, 일부 농가에 문제가 발생해도 나머지 농가들은 즉시 제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검사가 완화된 것이다.
그러나 아직 방역대 외 가축거래 허용, 가축시장 재개장 등의 조치가 이뤄지지 않아 축산농가들은 여전히 어려움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그동안 사료값은 상승한 반면, 한우값은 떨어져 힘든 시기를 보내던 축산농가들에게는 더없는 고통이 지속되고 있는 셈이다. 축산농가들의 이 같은 어려움은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장도 만만치 않게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하루속히 일상의 회복이 시급하다. 영암군은 구제역 발생으로 축제를 비롯한 각종 모임·행사가 2개월 이상 모두 중지되는 바람에 지역의 소상공인까지도 타 지역에 비해 더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축산농가와 마찬가지로 농사를 주업으로 하는 농업인들도 비료, 농약, 농기계, 인건비 등이 꾸준히 올라 농업경영비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농가의 수익성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기후 위기가 심각해지면서 가뭄, 폭우, 이상기온 등으로 인해 작황이 불안정해지고, 농업 생산성이 더욱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농업과 축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는 실정에서 지역경제가 살아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그야말로 지금 우리 농업·농촌은 사면초가다.
6.3 대선 사전투표가 29일 전국에서 일제히 시작됐다. 이번 대선에서는 경제를 살리고 소멸위기에 처한 지역과 농업·농촌을 회생시킬 새 지도자가 뽑혔으면 더없는 바람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