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과 경남 지역 등을 휩쓴 산불이 남긴 사상 최악의 피해가 참담하기만 하다. 서울 면적 80%가 넘는 국토가 잿더미가 됐고 30명이 목숨을 잃었다.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은 3만7천여 명에 이른다. 절망에 빠진 이재민들이 슬픔과 고통을 딛고 하루빨리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피해 복구를 서두르고 물심양면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할 때다. 그래도 국가 재난 때마다 그래 왔듯 이번 역시 민간 각계각층에서 온정의 손길이 이어지고 있으니 불행 중 다행이다. 영암군도 자매도시인 산청군에 구호의 손길을 내밀었다.
이번 산불은 인간의 힘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자연의 재해’였지만, ‘인간의 재해’이기도 했다는 점에서 많은 교훈을 던져준다. 최초 발화한 의성군 산불은 성묘객에 의한 실화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산청군 산불은 인근 농장에서 예초기로 잡초 제거 작업 중 불씨가 튄 게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울산 울주군 온양읍에서 발생한 산불도 인근 농막에서 용접 작업 중 발생했다고 한다. 그리고 충북 옥천·영동 화재는 쓰레기 소각, 김제는 성묘객 실화로 추정되는 불이 났다.
이처럼 국내 산불은 대부분 개인의 사소한 부주의로 인해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산림청이 발표한 '2024년 산불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 10년(2015~2024년) 동안 산불의 주된 원인은 실화와 소각인 것으로 조사됐다. 해당 기간 산불은 총 546차례가 발생했는데, 입산자 실화는 171건으로 전체의 31%를 차지했다. 이외에 담뱃불 실화 35건(7%), 성묘객 실화 17건(3%)이 발생해 실화는 전체 산불 중 약 41%에 달했다.
소각에 의한 산불도 적지 않았다. 이 기간 쓰레기 소각으로 인한 산불은 68건(13%), 논·밭두렁 소각은 60건(11%)으로 집계됐다. 전체 산불 중 24% 정도가 산에서 소각하던 중 불똥이 번져 산불로 이어진 경우이다. 우리 군민들이 주목해야 할 대목이다.
최근 산불은 ‘연중화·대형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기후변화로 산불은 더 잦아지고 커질 것이 분명하다. 우리 지역도 방심하면 얼마든지 재난을 당할 수 있다. 지난달 25~26일 학산면에서 잇따라 발생한 2건의 화재도 소방서 인력 54명과 장비 25대가 급히 투입돼 진압됐지만 상가 7곳이 전소되는 등 적지 않은 재산 피해를 입었다. 군민 모두가 화재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