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군이 급증하는 외국인 근로자의 안정적인 정착과 근로 환경개선을 위해 ‘외국인 근로자 지원 강화대책’을 마련, 본격 추진에 나선다고 한다. 

이번에 마련된 외국인 근로자 지원 강화대책은 조선업, 농업,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에서 근무하는 외국인 근로자를 위해 △한국어 교육 및 문화적응 지원 △공동체 네트워크 활성화 및 외국인 특화거리 조성 △근로 환경개선 및 긴급지원 서비스 △유관기관 협력·지원체계 구축 등 현장 맞춤형 사업 등이다.

영암군은 이번 지원대책과 함께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고, 이주민이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방안을 마련해 군정에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영암군의 외국인 비율은 지난해 전남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남연구원이 지난해 6월 기준 주민등록 현황 등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등록외국인 수는 약 142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2.8%를 차지했다. 전남의 등록외국인 수는 5만4천 명으로 전남 인구의 3.0%를 차지했다. 전남의 등록외국인 비율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5번째로 많은 수치다. 그 중에서 영암군이 1만443명으로 가장 많다. 여수시(7천273명), 목포시(4천856명)가 뒤를 이었다. 등록외국인 비율은 영암군(20.1%), 완도군(10.1%), 진도군(8.1%) 순이다. 전남 등록외국인의 체류자격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취업(56.8%), 정주(28.9%), 유학(10.4%) 순이다. 전남에서 취업 목적의 등록외국인 수가 가장 많은 것이다.

바야흐로, 다문화 시대, 공존의 길이 활짝 열린 셈이다. 특히 조선업이 밀집해 있는 삼호읍에는 영암에서 가장 많은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다. 최근 대불산단 입주기업들의 호황으로 외국인 근로자가 급증하고 있는 있는데 영암 인구 10명 중 2명은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이제 농촌에도 외국인 근로자 없이 농사를 지을 수 없는 실정에 이르고 있다. 농업인구가 감소하고 고령화되면서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는 상황인 것이다. 이제, 단일민족이 아닌 다국적·다문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따라서 외국인과 함께 서로 돕고 살지 않으면 제조업과 농업 현장은 무너질 수밖에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 앞으로 더 빠른 속도로 외국인 인구 비중이 높아지는 현실을 감안한다면, 서로의 문화를 깊이 이해하고 한국을 더욱 사랑하도록 손을 먼저 내미는 공존의 길은 선택이 아닌 필수사항이 되었다.

저작권자 © 영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