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는 세입 기반이 취약하여 중앙정부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중앙정부의 보통교부세는 지방재정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이의 배분 방식이 지역 발전 전략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다. 특히, 올해부터 지방자치단체가 중앙정부로부터 지원받는 보통교부세 산정 방식에서 생활인구가 중요한 요소로 반영되면서 각 지자체가 생활인구 유치에 비상이 걸렸다. 생활인구는 해당 지자체의 관내 주민·외국인 등록인구에 월 1회·하루 3시간 이상 머무는 체류 인구를 더한 수치를 말한다.

영암군도 이 같은 정부 시책에 맞춰 관광 활성화를 통한 생활인구 증대에 전 행정력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라고 한다. 올 연초 조직개편을 통해 새롭게 출발한 관광과는 영암 관광의 현주소를 자체 진단하고 새로운 틀을 짜내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그동안 영암군이 가지고 있는 풍부한 역사·문화·생태자원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자성에서부터 출발하겠다는 것이다.영암군의 관광을 일상 속의 관광으로 활성화 방안을 만드는데, 전문가로부터 자문과 마을관광에 관심 있는 지역주민들과 함께 고민하면서 체험과 대표음식, 관광기념품 등 살거리 등을 필수적으로 포함한 관광코스상품 개발과 전담 운영체제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한다.

또 아침 식사가 가능한 숙박관광 방안 마련과 지역행사가 아니라 외래 관광객을 유치하여 장시간 영암을 즐길 수 있는 체류형 관광상품개발과 마케팅 강화, 홍보 효과 높은 채널을 활용한 대외홍보도 강화한다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군민에겐 문화적 갈증 해소를, 대외적으로는 신규관광 수요 창출과 관광객 재방문율을 높이는 영암 관광의 틀을 만드는 데 심혈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한다.

그동안 국세 및 지방세수가 크게 감소하면서 지난 2년간 영암군의 재정이 1천억 가량 손실이 발생했다. 이 때문에 고강도 세출 구조조정이 이뤄지면서 곳곳에서 불만의 소리가 높았다. 앞으로도 어려움은 지속될 전망이다. 가뜩이나 어려운 살림에 생활인구에 의한 정부 교부세 산정기준은 관광여건이 취약한 자치단체에 치명타를 입힐 수 있다는 점에서 관광 활성화뿐만 아니라 기업 유치, 생활 인프라 확충 등 실질적인 대책이 시급하다 하겠다.

저작권자 © 영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