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성 역사와 가치 등 총망라

영암성과 영암사람들의 역사 및 가치를 속속들이 담아낸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책으로 출간됐다. 

영암군이 20일 영암성 연구 홍보 책자 ‘영암성, 영암 사람들’<사진>을 발간했다. 영암학회에 의뢰, 발간된 이 책은 영암성 축성 배경에서 주요시설 배치 과정, 각 시설 규모와 기능, 성 안팎 발생 주요 사건 등까지 관련 연구 결과가 총망라돼 있다. 이전까지의 영암성 연구는 영암경찰서 뒤편의 성곽 발굴조사를 기초로 한 성곽 축성 시기·구조 등에 머물러 있었다.  

특히, 이 책은 도선국사의 풍수사상이 담긴 ‘도선국사 답사기’의 정밀한 번역과 답사를 바탕으로 현재의 영암성당 터에 ‘영암의 혈처(穴處)’인 동헌이 들어선 내력을 밝히고 있다. 이 동헌을 중심으로 회의촌과 율산마을 등이 조성되고, 영암향교·사직단·성황사·여단 등은 ‘주례고공기(周禮考工記)’를 근거로 동헌 상하좌우에 배치됐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또 ‘낭주지관(朗州之館)’ 당호 편액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객사 건물이 1909년 2월 20일 일본 헌병대의 실화로 사라지게 된 과정, 아전의 작청과 호장의 군사, 좌수의 향정이 자리한 위치와 기능, 대월루와 연지의 구조와 규모, 영보역과 형옥의 위치와 각 성문의 구조 등도 1915년 일제의 지적도 등과 대조해 자세히 기술돼 있다.        

저작권자 © 영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