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에서 문화로’ 주제 국내서 첫 개최
전통 물레·기와 체험 등 참여 행사 다채
영암군이 전라남도와 함께 국내 최초로 개최한 ‘2024 대한민국 한옥문화 비엔날레’가 한옥의 새로운 문화 예술적 지평을 열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지난 8~10일 영암목재문화체험장 등에서 ‘건축에서 문화로’를 주제로 열린 이번 비엔날레는 한옥이 건축을 넘어 한국 문화의 상징으로 자리 잡고, 한옥 비엔날레가 문화 행사로 나아가야 한다는 새로운 비전도 제시했다는 평가다.
8일 목재문화체험장 광장에서 열린 개막식에서는 행사 랜드마크인 ‘문화의 샘’ 상량식이 이광복 대목장의 지휘로 열렸다. 이어 천하제일탈공작소는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한 탈춤공연 ‘비나리’로 비엔날레의 개막을 알렸다. 광장 바로 옆 회랑 전시동 부스에서는 전통 물레와 기와, 외도래 매듭, 한복, 천연염색, 체험, 기와 소원담기, 도마 만들기 등이 진행돼 방문객들이 한옥과 전통문화를 경험하는 장이 됐다.
목재문화체험관 월출관에서는 다채로운 한옥문화 전시가 관객들을 맞았다. 먼저, ‘한옥을 담은 예술의 조각’ 전시에는 한옥을 재해석한 다양한 작품들이 배치됐다. 영상 전시 ‘빛으로 지은 집’은 장인이 섬세한 손길로 한옥을 건축하는 과정을 보여줬다. 여기에 이광복 대목장의 현치도 드로잉 전시 및 다큐멘터리 영상도 더해져 한옥의 예술성을 관람객들이 만끽하는 기회를 줬다. 한옥 전시 ‘유첨당, 한옥의 공간미를 재해석하다’는 건축가 김봉렬이 전통 한옥의 고전적인 아름다움을 현대적인 시각으로 재현한 모형으로 공간 배치의 아름다움과 여백의 미를 보였다.
전시장 한편에서는 ‘제1회 전라남도 목재누리 페스티벌 목공예 디자인 공모전’ 수상작 전시가 열려, 목재의 우수성과 전통 목공예의 현대적 계승 방법을 알렸다.
이번 한옥문화 비엔날레에서는 아시아현대도예전 ‘현대 도예 새로운 지평’ 전시도 함께 열렸다.
현대 도예의 지속 가능성과 미래 비전을 살필 수 있었던 이번 협력 전시에는 단국대·동덕여대·부산대·서울과기대·서울여대·숙명여대·한국전통문화대·홍익대의 교수·박사·신진작가 등 130여 명의 젊은 예술가들이 해석한 도자 작품들이 눈길을 끌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