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군이 쌀값 하락에 대응하기 위해 ‘영암 쌀 소비 촉진 및 판매 활성화 범군민 운동’을 전개하고 나섰다. 이번 행사는 쌀값 하락으로 어려움을 겪는 농가를 돕자는 취지에서 추석 명절이 있는 9월 말까지 추진될 예정이다.
영암군은 먼저 공직자들의 ‘1인 1포 영암쌀 사주기 운동’을 시작으로, 전국 지방자치단체와 향우회, 기업 등에 영암쌀 구매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한다. 또 집단급식소를 대상으로 영암쌀 사용을 장려하고 올해 ‘전남 10대 브랜드 쌀’로 선정된 달마지 쌀을 할인 판매하는 등 쌀 소비 촉진에 팔을 걷어 부치고 나섰다.
사실, 일회성 행사로는 한계에 이를 수밖에 없는 실정이지만 농가들의 어려움을 공무원을 비롯한 지역 공동체가 함께 짊어지고 간다는 차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운동이라 여겨진다.
주지하다시피, 지금 농촌은 여러 가지 위기에 봉착해 있다. 그동안 농업단체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2023년 쌀 가격의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쌀값은 지난 9개월간 계속해서 하락해 윤석열 정부가 약속했던 80㎏ 가마당 20만 원 선도 무너졌다. 물가와 생산비 폭등을 감안하면 쌀값이 폭락했던 지난해보다 소득은 줄었다고 농민단체들은 호소하고 있다. 그럼에도 윤석열 정부는 언 발에 오줌 누는 격으로 찔끔찔끔 대책이라고 내놓아 나락 가격 반등은 좀처럼 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쌀 유통의 55% 이상을 차지하는 농협은 정부의 물가안정 방침에 눈치만 보면서 쌀값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역시 농민단체들의 주장이다.
전국 쌀 생산량의 20%가량을 차지하는 전남의 경우, 많은 생산량 탓에 타 지역에 비해 가격이 낮아 농민들은 물론 지역농협까지도 시름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어디 그뿐이랴. 올해 한우 값은 공급 과잉과 소비 위축 등의 영향으로 크게 하락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사료비와 인건비 등 생산비 상승으로 농가 손실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농가들은 마리당 최고 400만 원까지도 적자를 보고 있다고 하소연한다.
결국, 농도 전남의 경우 소 값 폭락이 장기화되고 쌀값이 더 추락한다면 농가소득은 쪼그라들고 농촌경제 위축을 불러올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 따라서 정부 차원의 책임 있는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지만 국회를 통과한 관련법이 번번이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거부당하고 있다.
그래서 거듭 강조하지만, 최소한 농어민들의 생존권 보장을 위해 ‘농수산물 최저가격 보장제’는 반드시 법제화가 이뤄져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