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또다시 활발하게 추진됐던 영암읍 중·고교 통합논의가 한 발짝도 진전을 보지 못하고 또 한 해를 넘길 판이다. 중·고교 통합 유형을 놓고 학부모 등 교육 주체와 사학 간 이견이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학령인구 감소로 교육경쟁력 강화가 시급한 문제로 대두고 있지만 영암군은 여전히 예외지역으로 남을 공산이 커졌다.
지난해 9월 25일 영암교육지원청 별관에서 학부모, 학생, 교직원, 지역민이 참석한 가운데 영암읍 교육력 강화방안에 대한 토론회를 갖고 여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영암읍 중·고 통합을 추진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종전에 통합추진을 두 차례나 시도하여 무산된 바 있지만 학생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현실에서 수준별 수업조차 못하는 고교가 적지 않는 등 ‘영암교육 경쟁력 강화’가 더 이상 방치돼선 안 될 절박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또다시 통합추진이 시도됐다.
이에 따라 지난해 10월 7일부터 29일까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길리서치에 의뢰하여 영암읍 소재 초·중·고 교육주체(학생, 학부모, 교직원)와 영암읍 소재 고등학교 진학지역(군서, 덕진, 시종, 신북, 도포, 금정) 학부모, 지역민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를 실시해 영암읍 소재 중·고등학교 통합에 대해 찬성 69.2%, 반대 28.2%로 대다수가 학교통합에 찬성했다.
특히 그동안 문제가 됐던 중·고교 통합 유형에 대해서는 고등학교의 경우 ▲공립으로의 통합 67.6% ▲사립으로의 통합 29.1% 그리고 중학교의 경우 ▲공립으로의 통합 76.2% ▲사립으로의 통합 20.9%로 각각 나타났다. 즉 그동안 일부 학부모들 사이에서 선호한 것으로 여겨졌던 ‘고등학교의 사립화’가 실제 여론조사에선 정반대로 나타나면서 난관에 봉착하게 된 것이다.
당초 전라남도교육청은 ‘고등학교의 사립화’에 대해서도 지역주민들의 여론에 따른다는 방침이었으나 실제 여론조사에선 67.6%의 주민들이 ‘고등학교의 공립화’를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난감한 상황에 처한 것이다. 반면에 사학재단인 영암여중·고 측은 ‘고등학교 사립화’가 아니면 학교통합에 나서지 않겠다는 종전의 입장을 고수하면서 학교통합은 사실상 물 건너간 것으로 보인다.
지역소멸 위기 속에서 학생들이 보다 좋은 환경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것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지역의 최대 과제다. 2012년부터 추진된 지역 거점고등학교 추진에 도내 많은 학교들이 적극 호응하고 나섰지만 유독 영암은 10년을 훌쩍 넘긴 세월에도 여전히 예외지역으로 남아 있어 안타까울 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