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군은 최근 정부 예산편성을 앞두고 내년도 국고 사업의 원활한 예산 확보를 위해 지역 국회의원 보좌관 및 전라남도 예산담당 공무원과 실무자 협의회를 갖고 지역 현안사업을 집중 점검하고, 국고 반영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논의했다.
이른바, 이번 당정 간 회의에서는 외국인(다문화) 치안 지구대 설치 등 24건에 대한 시급성과 당위성을 공유하고, 민선 8기 역점 공모사업의 대응방안과 농업진흥구역 해제, 사회보장제도 신설·변경 건 등 제도 개선사항도 논의됐다고 한다.
정부의 긴축 재정 기조 속에 올해 처음 열린, 이번 당정 간 회의는 앞으로 정례화시켜 예산 확보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적인 총체적인 난국 속에 농업·농촌의 문제가 역대 정부 중 최악을 상황을 맞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전통적으로 농도인 전남은 여전히 농수축산업이 주 소득원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작금의 상황을 보더라도 올해 쌀값이 계속해서 떨어지더니 최근에는 80㎏ 1포대당 18만 원대로 추락했다. 정부가 2023년 수확기 이후 5차례의 수급 안정 대책을 발표하고, 올해 2월 식량 원조용 10만 톤 매입에도 불구하고 쌀값 하락세는 멈추지 않고 있다. 더욱이 지난 4월 말 기준 전남지역 농협 쌀 재고량은 전년보다 80%가 증가한 18만 톤에 달한다. 소비가 부진해 재고 물량이 좀처럼 줄지 않고 정부가 해외 식량 원조용으로 쌀 10만 톤을 추가로 매입했지만 약발이 듣지 않는 모양새다. 추가 하락을 막을 장치가 절실한 상황이다.
한우 값도 지난해 추석 이후 계속 떨어지면서 폭락세를 거듭하고 있다. 한우 값이 2년 전부터 불안하더니 최근에는 두당 200만 원 이상 최고 400만 원까지 손해를 보고 있다. 그동안 호황기를 맞아 한우 사육 농가들이 급증한 영암지역은 최근 몇 년 사이 빚으로 시작한 농가들의 줄도산이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축산업을 포기하고 축사를 내놓은 농가들이 하나둘씩 생기고 있다는 소문도 들린다. 농도 전남이 벼랑 끝에 내몰리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현 정부의 무관심과 무능에 대처할 국회 차원의 대책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그런 측면에서 그동안 소홀히 했던 당정회의는 정례화를 통해 긴밀하게 소통해야만 한다. 지역소멸 위기와 함께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 농업·농촌의 문제에 대해 당정이 보다 정성을 다해 전력을 다해주길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