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응 전략 확정
특수목적법인(SPC) 등 설립 운영
영암군은 지난 17일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대응전략 수립 최종보고회’를 개최, 특화지역 유치계획 등 추진 전략과 비전을 최종 발표했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주민협동조합을 구성해 태양광 및 풍력 등 재생에너지 기반 분산전원 발전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해 운영하는 방안과 포터블 ESS 방식을 활용한 에너지 공급 법인, 주민협동조합이 운영하는 RE100 스마트팜 모델 등 주민 이익을 극대화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이는 주민 수용성 확보가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서 가장 중요하게 판단하는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또 재생에너지의 안정성 강화를 위한 통합발전소의 경우, 공공형 모델, 산단 내 마이크로그리드 모델, VPP-ESS 모델 등 3가지의 주요 비즈니스 모델이 제시됐다.
올해 시행 예정인 ‘대불국가산단 에너지 자급자족 인프라 구축 및 운영사업’의 연계성도 강화해 산단 내 분산에너지 활성화 실현과 분산에너지를 확대할 계획이다.
영암군은 이번 최종보고 내용을 바탕으로 특화지역 지정을 위한 기본 계획과 구체적 실현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2025년 예정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위한 실현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마련하고, 관련 기업 및 기관 등과 현실적 구조를 만들어 지역 내에서 자체적 시행이 가능한 모델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영암군은 지난 14일 시행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맞춰 분산에너지 활성화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유치 등을 목표로 지난해 12월부터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대응전략 수립용역을 추진해왔다. 지난달 24일에는 용역 중간보고회를 갖고 신사업 육성과 관련된 전문가 세미나를 개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