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군이 '분산에너지로 새롭게 도약하는 에너지 혁신수도'를 비전으로 전국에서 재생에너지 전기요금이 가장 저렴한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지역 실현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 주목받고 있다.

영암군은 최근 '분산에너지 시대와 지역 신사업 육성전략 세미나'를 개최하고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맞춘 특화지역 유치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즉 이달 중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시행에 맞춰 산업단지형 모델과 지역 중심의 재생에너지 대응형 모델을 결합한 특화지역 계획을 전남도에 제안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 같은 배경에는 영암지역이 대불국가산단과 삼호일반산단(현대삼호) 등 연간 약 1TWh/y 규모의 수요처가 있고, 2022년 기준 연간 재생에너지 생산량도 682GWh/y에 달해 재생에너지 자립률이 약 55%에 육박하는 등 발전량 규모도 상당하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지역 내 수요와 공급을 모두 갖추고 있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에 최적의 조건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가 지자체 신청을 받아 선정하게 될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은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특화지역에 선정되면 지역 내 전력 생산자가 한국전력(한전)을 거치지 않고 수요자에게 직접 전기를 팔 수 있게 된다. 지역에 특화된 사업자가 해당 지역에 전력을 공급한다는 의미다. 그렇게 되면 저렴한 전기 공급이 가능해진다. 지자체의 전기요금이 수도권보다 낮아지면 지방 경쟁력을 위한 기업유치 등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각 지자체마다 유치 움직임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영암군은 이에 따라 지난해 11월 전남 군 단위 최초로 에너지센터를 개소한데 이어 12월에는 '영암군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대응전략' 수립에 들어가는 등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대응을 위해 노력해왔다. 그리고 마을 단위를 중심으로 올해 2개소의 영암형 에너지 자립마을을 조성하고 해마다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주민협동조합을 구성하고 ‘영암형 주민햇빛연금’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한다. 전기차 증가에 대응해선 기존 주유소의 전환을 지원하고, 전기차 충전 기반을 확보하는 ‘영암형 에너지슈퍼스테이션’도 모색하고 있다. 2026년에는 (가칭)‘영암탄소중립·기후에너지공사’를 설립할 구상도 내놓았다.

세계는 지금 기후변화 위기의 시대에 직면하고 있다. 또한 지방소멸 위험에 처해 있다. 지역사회가 역량을 한데 모아 주민에게 경제적 혜택을 주고, 기업 유치로 지역경제 활성화의 동력을 얻을 수 있다면 그 또한 위기를 돌파하는 기회가 아닌가 생각된다.

저작권자 © 영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