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은 우리의 삶의 터전이다. 우리는 자연으로부터 많은 혜택을 누리며 살아가고 있다. 다시 말해, 자연은 우리에게 혜택을 주고 삶의 터전을 제공해준다. 그런 반면에 우리는 자연을 사랑하며 아끼고 보호하지 않고 개발하고 훼손하고 망가뜨리고 있다.

영암의 관광지 주변에 심어진 나무를 보면 당국이 나무 관리를 얼마나 소홀히 하고 있는지 대략 짐작할 수가 있다. 군서면 죽정리 벚나무 가로수길도 그 중의 하나다. 벚나무가 크면서 데크의 일부를 나무 밑동이 물고 들어가 생장에 지장을 주고 있는 것이다. 나무와 데크 사이가 5㎝ 정도는 여유 있게 심어진 타 지역과는 대조적이다. 나무를 보호하기 위한 시설인지 아니면 사람들의 보행을 편리하게 만든 시설인지 분간할 수가 없다. 월출산 둘레길에 설치된 전망대의 데크에도 오래전부터 이 같은 현상을 발견할 수 있지만 결코 시정되는 일이 없다.

관공서에서는 해마다 식목일이면 나무를 심는다고 야단법석을 떤다. 나무 심기는 해방 직후인 194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제강점기의 수탈로 망가진 국토를 회복하자는 뜻에서 4월 5일을 식목일로 제정하고 대대적인 나무 심기 운동을 시작했다. 1967년 산림청이 발족하고 치산 녹화사업을 추진했다. 그 결과 전쟁과 가난의 굶주림 속에서도 가장 짧은 기간 동안 국토녹화에 성공했다. 정부는 이러한 성공을 바탕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의 기반을 구축하고 가치 있는 산림자원 조성에 나서고 있다. 기존의 나무 심기가 헐벗은 산을 우선 녹화하자는 것이 목적이었다면, 이제는 나무 한 그루를 심어도 미래의 경제적인 가치를 따지고 있다.

바야흐로, 기후위기의 시대다. 지구온난화로 식물의 성장이 빨라지자 식목일을 3월로 앞당기자는 말이 나올 정도다. 이런 때일수록 나무의 가치는 더욱 소중하다. 나무 한 그루가 40년간 이산화탄소 4톤을 흡수한다고 한다. 관상·식용·건축 등에도 쓰임새가 많다.

경관용으로 식재되는 수목의 경우 나무의 생장은 물론 공간의 미적 기능도 잘 살리는 지혜가 요구되고 있다. 찾아가는 ‘현장 행정’은 이럴 때 필요한 것이 아닌가 싶다.

저작권자 © 영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