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매체의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피해사례 및 예방법 홍보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과거 어설픈 말투로 주로 나이 많은 노인들을 표적 삼아 범죄를 저질렀던 보이스피싱 수법이 점점 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보이스피싱은 주로 전화 문자, SNS 등 매체를 활용하는데, 단순히 말로만 상대방을 속이는 것이 아니라 유선전화 발신 번호를 수사기관 등으로 조작하거나 금융기관 등을 사칭하여 자금을 취한다. 또는 개인 정보를 해킹하여 가족이나 지인을 사칭하여 돈을 요구하기도 한다.

그리고 불특정 다수에게 문자·이메일 등을 보내서 가짜 홈페이지로 접속하도록 하여 개인 정보와 금융정보를 수집하는 범죄 방법, 근래에는 기술적 방법으로 가족의 목소리나 영상을 조작하여 범죄에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얼마 전에는 현직 경찰관이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을 위해 정부가 제도적으로 개선해 달라고 요청하는 국민청원을 올려 관심을 모았다. 해당 글에는 “보이스피싱 관련 업무를 하고 있는 경찰관”이라며 “보이스피싱이 많이 발생하고 있고, 안타까운 사례가 많다”고 썼다. 이어 “저금리 대환대출 요구와 정부기관 사칭해 범죄 관련성 확인 등의 이유로 계좌이체를 요구하거나 현금을 인출해 현금 수거책에게 전달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수법으로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1년간 수 천억원의 피해가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정부는 더 이상 전 국민이 범죄 피해자가 될 수 있는 보이스피싱을 방치하면 안된다”며 “정부가 제도적으로 개선해 보이스피싱 범죄예방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3월 3일 군서면에서도 보이스피싱 피해를 당할 뻔한 70대 여성이 기지를 발휘한 금고직원 덕분에 화를 면했다.

보이스피싱은 평생 모은 돈을 일순간에 잃게 만들고, 심지어는 피해자의 목숨도 앗아가게 만드는 죄질이 나쁜 범죄다. 보이스피싱 피해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의 제도적 뒷받침이 시급히 마련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영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