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시추선 계약 취소 책임…강도높은 구조조정 예고
계속되는 악재에 ‘현실적인 대책마련 시급’ 목소리

올해 현대삼호중공업의 영업실적도 적자를 더해가는 등 조선경기가 좀처럼 불황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이로 인해 향후 지역경제가 몸살을 앓게 될 수 있다며 대책마련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역 조선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현대삼호 중공업의 모기업인 현대중공업이 최근 시추선 계약 취소 2(현대삼호중공업 1, 현대중공업 1 )이 발생하면서 관련 부문의 손실 3962억 원이 더해져 손실 규모가 크게 확대됐다. 수정 공시를 통해 밝힌 3분기 영업손실은 8976억 원으로 8분기 연속 영업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대삼호중공업 대표를 맡아왔던 하경진 대표를 자문역으로 물러나게 하고 윤문현 조선사업 대표를 승진발령하는 등 내부적으로 강도 높은 인사를 단행했다. 이번 인사의 배경으로 내부적으로는 이번 잠수식 시추선 계약 취소로 손실을 초래한 책임이 단초를 제공했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여기에 11월 중 조직개편과 함께 후속 임원인사도 실시하기로 하는 등 사실상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할 것이 확실하다. 그 첫 번째가 강도 높은 구조조정인데 올해 상반기에만 현대중공업, 현대삼호중공업, 현대미포조선 등 조선계열사 3곳에서 25명이 옷을 벗었다. 이 때문에 올해 연말 정기 임원인사는 최소 폭에 그칠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점쳐지고 있지만 경영위기 극복을 위한 긴축경영은 불가피하다는 것이 조선업계 관계자들의 공통된 전언이다.

이러한 긴축재정은 고스란히 지역 업체에 전가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한 파장을 불러올 수도 있다. 대불산단의 상당수의 업체가 현대삼호중공업의 하청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원청의 긴축재정은 하청업체에게는 쓰나미와 같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특히 현대삼호중공업의 협력업체들은 최근 몇 년간 조선경기 불황을 이유로 협력업체와 고통분담을 요구하며 대금을 삭감하거나 업체들끼리 일감을 나누는 것으로 울며 겨자먹기로 어렵사리 관계를 이어왔는데 이번 인사를 시작으로 이러한 현상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우려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

현대삼호중공업이 허리띠를 졸라맬 때마다 지역의 산업기반이 되는 대불산단은 심각한 몸살을 앓을 수 밖에 없는 구조이라는 것이 조선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이 때문에 지역 조선업계에서는 자금과 연구개발, 인력수급 등에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현대삼호중공업이 힘들다고 한숨을 내쉬면 밑에 하도급 업체 몇 곳은 문을 닫아야 하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라며 주문이 들어오면 하청업체들도 그에 맞춰 1년 전부터 시설과 인력을 갖춰야 하는데 은행권 대출도 쉽지 않고 인력을 구하기도 어려워 현실성 있는 제도개선이 시급하다고 하소연 했다.

저작권자 © 영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