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6기 출범이후 관심을 모았던 영암군의 정기인사가 지난 주 단행됐다. 두번에 걸쳐 나눠 실시된 이번 정기인사는 당초 자리메꿈식 소폭인사가 예상됐으나 5급 승진의결 대상을 포함 6급 팀장급 이하 110명에 대한 중폭의 인사가 이뤄졌다. 특히 이번 인사는 전동평 군수 취임이후 처음 단행한 인사인 만큼 공직사회는 물론 지역사회에서도 매우 큰 관심사로 떠올랐다. 그래서 인사가 지연될수록 갖가지 추측이 난무했지만 막상 뚜껑을 열고 보니 신임군수의 인사 스타일을 전혀 가늠하기 힘들 정도의 밋밋함 그 자체였다. 보는 이에 따라서는 무난하다는 평가와 일부 보복성 인사도 지적되고 있지만 신임군수의 첫 인사로 보기에는 전혀 특징을 찾아볼 수가 없었다. 물론 지역사회의 여론이 화합을 우선하는 목소리가 높았지만 지난 4, 5기를 거치는동안 보이지 않는 공직내부의 분위기를 추스리는 데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더구나 올해 지방선거를 앞두고 선거중립 의무를 위반한 공무원에 대해 경중을 불문하고 퇴출될 수밖에 없도록 대폭 강화된 법 취지에 비쳐보면 우려감도 없지 않다.
공무원들이 불법선거 운동임을 알고 있으면서도 특정후보를 위한 줄서기나 편 가르기에 나서는 이유는 인사가 결정적이다. 승진이나 좋은 보직발령 등 인사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한 순수하지 못한 의도에서 자발적이거나 또는 어쩔 수 없이 선거에 개입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군민화합’이라는 미명하에 공무원의 선거중립 의무가 적당히 묻혀버릴 경우 악습은 지속될 것이고, 그 폐해는 불을 보듯 뻔하다. 인사의 공정성이 담보되지 않을 때 빚어지는 공직사회의 갈등은 결과적으로 군민에게 피해가 돌아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분명한 것은 군민화합과 공직사회의 기강확립은 별개라는 사실이다.

저작권자 © 영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