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인(영암고등학교 진학실)

중·고등학교 통폐합이 영암 교육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것에는 나도 공감이 간다. 그러나 사학에 공립이 흡수 통합되는 것은 농촌인 영암에서는 영암교육의 발전은 커녕 헤어날 수 없는 수렁에 빠지는 것이 자명한 일이다. 그리고 공립이 사학에 흡수 통합되는 사례는 대한민국 어디에서도 그 사례를 찾을 수 없다.
인근 장흥도 장흥고와 장흥여고가 모두 공립이었기에 하나는 인문고로 하나는 실업고로 쉽게 통합이 가능하였다. 이렇게 공립끼리 역할 분담으로 통합하여 명문고로 발전하고 있는 지역으로는 인근 장흥을 비롯하여 해남, 완도, 담양, 곡성 등 사례가 많다. 이들은 모두 공립에서 공립으로 상호 흡수 통합되었다. 어디도 사립에 공립이 통합되지는 않았다. 우리나라 교육적 현실에 비추어볼 때 사학으로의 흡수 통합은 많은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사학이 잘 되려면 재단의 재정이 튼튼하여 학교운영비를 적어도 일정비율 이상은 재단에서 부담하여야 한다. 아니면 학생 수라도 매우 많아야 한다. 그래서 학생수가 보통 30학급이 넘는 서울이나 아니면 광역시 등 도시지역이든가, 아니면 재단을 튼튼한 기업이 후원을 하던가 하는 곳만이 사립학교가 잘 운영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영암의 사학은 1%에 불과하다. 1% 자본으로 99% 자본을 지원 받겠다는 것이니 어불성설이다. 그러니 학부형과 지역 자치단체 및 교육청의 부담만 가중되는 것이다.
사학은 개인 재산이다. 통폐합의 결과가 국가 재정을 끌어다 개인 재산을 늘리는데 지원하였다면 잘 한일 이라고 생각이 드는가? 영암군민은 세금은 국가에 내놓고, 국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교육혜택은 사양할 것인가?
10년 후 20년 후 미래의 영암 교육을 생각해 보자. 지금처럼 학생수에 의존하는 사학에 맡겨 무책임하게 무너지는 영암 교육을 볼 것인가?
어려운 여건에서도 열심히 하여 명문고로 발전하는 영암고를 없애고 사립으로 흡수시켜 개인재산 증식을 도와야 하는가? 지금까지 60여년 동안 일구어온 선배 교육자들에게 부끄럽지 않고, 후대에 잘 한 일이라고 칭송 될 일인가 가슴에 손을 얻고 생각하여 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