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배근 (본사 대표이사·발행인)
농어촌의 교육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모든 군(郡)에 1개의 명문고를 육성하는 방안이 추진된다고 한다.

지난 21일 교육인적자원부가 발표한 `참여정부 교육복지 종합계획안'에 따르면 내년부터 농어촌 지역의 군마다 1개 고교를 우수고로 선정, 이른바 명문고로 육성한다는 것이다.

교육부는 이들 학교를 대상으로 2007년까지 장학금 지원, 기숙사 시설 완비, 우수교사 배정 등을 통해 도시학교 수준의 교육여건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또 현재 전체 정원의 3%인 농어촌 학생 특별전형 정원을 2005학년도에 4% 이상으로 늘리도록 대학에 권고하고, 인접 학교 2~3곳을 하나로 묶어 부족한 시설·인력을 상호 지원할 수 있도록 `협력 학교군(群)'을 만드는 방안도 고려중이라고 한다.

이밖에도 농어촌 근무 교사의 수당을 상향조정하고 사택도 확충하는 등 교사에 대한 복지도 개선하며 교육감의 추천으로 교대에 입학한 뒤 농어촌 학교에서 의무적으로 근무하는 향토교사의 수도 늘리기로 했다고 한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으로 때늦은 감이 없진 않지만 일단 환영할 만한 일이다. 사실 농어촌 학교문제는 이미 오래 전에 국가적 차원에서 진지한 접근이 있어야 했다. 주지하다시피 지금 농어촌에는 아기들의 울음소리가 그친 지 오래다.

우리가 살고 있는 영암지역만 보더라도 그 동안 19개의 초등학교가 폐교됐다. 앞으로 1~2년 사이 3개교 정도가 추가로 없어질 위기에 있다. 그러니까 면소재지 학교만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을 뿐이다. 이 마저도 정부의 정책에 의해 겨우 명맥을 이어갈 뿐 경제적 논리로 따지자면 폐교 대상이 수두룩하다.

그만큼 농어촌의 교육문제는 항상 뒷전이었고, 그 사이 농어촌은 젊은이들이 떠난 빈 자리만 늘어갔다. 그 빈자리는 노인들의 몫으로 남았다. 결국 젊은이들은 떠난 농어촌은 피폐일로에 치닫을 수 밖에. 이유는 간단하다. 먹고사는 문제도 컸지만 자녀교육 때문에 농촌을 떠난 부모들이 부지기수에 이른다는 사실이다. 자식들만큼은 ‘가난의 대물림’을 하지 않겠다는 결연한 의지가 그들을 도시로, 도시로 몰고 갔으리라.

영암군이 뒤늦게 ‘명문학교 육성’에 뛰어든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지역민들의 절박한 위기의식에서 비롯된 명문학교 육성은 지금 거주하는 주민들의 자녀라도 붙잡아 두자는 취지다. 지역경제와 직결된 이 문제는 인근 타 시군의 학생들까지 흡수하면 더욱 더 좋은 일이고…. 그렇지만 그 또한 쉬운 일만은 아니라는 사실이 엄존한다.

인근의 해남군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군 차원에서 명문학교 육성을 서둘러 온 결과 지금은 해남고등학교가 명문고로 급부상했다. 지역인재가 유출되는 현상을 막고 인근에서 오히려 우수자원이 몰려드는 역전현상까지 빚어지고 있다. 내년부터 목포가 평준화되면 ‘인재 역류현상’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부익부 빈익빈(富益富 貧益貧)’이라는 경제적 (?)논리가 교육현장에서 까지 적용되고 있는 셈이다.

어쨌든 교육부가 뒤늦게나마 농어촌교육에 눈을 돌리고 대안모색에 나섰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찾고자 한다. 다만 추진과정에서 현실을 도외시한 탁상행정에 그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그 동안의 사례에서 보듯 너무 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왔기 때문이다. 숫자도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장관이 교체됐고, 장관이 바뀔 때마다 우왕좌왕한 모습을 국민들은 익히 보아온 터다.

명문학교 육성에 나서고 있는 영암군에서도 차제에 교육부의 이같은 시책을 감안, 주도면밀한 연계작업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필요성엔 공감하지만 정부나 지자체의 뒷북치는 행정이 항상 문제다. 이제 더 이상 농어촌에 사는 젊은 부모들이 자식교육에 골머리를 앓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 간절하다.

 

저작권자 © 영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