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는 요소수 대란으로 농촌이 또 다른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의 응급조치로 요소수 부족 사태는 일시적으로 수그러들 수 있겠으나 그 파장이 만만치 않다.

특히 농업 분야는 물류대란과 함께 요소비료 품귀 현상으로까지 이어져 이중고를 겪을 형편이다. 전국의 농산물 수송을 담당하는 화물차가 멈춰 서면 농업과 농촌은 위기를 맞을 수밖에 없다. 밥상에 오를 농산물 가격이 치솟고 소비자의 시름 또한 깊어지게 된다. 코로나 사태까지 장기화 되면서 농업·농촌은 사면초가에 있다.

요소수는 2015년 이후 등록한 경유차에 필요하다. 농촌에서는 트랙터와 콤바인에 주로 사용되는데 이들 기종이 멈추면 농사일에 막대한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농촌에서 사용되는 75마력 이상 대형 트랙터와 콤바인 등은 배출가스 저감장치가 법적으로 의무 장착돼 있기 때문이다.

지금 농촌에는 웃돈을 주고도 인력을 구하지 못해 농산물 수확을 포기하거나 경작면적을 줄이고 있는 게 현실이다. 천정부지로 치솟는 농촌 인건비는 농사를 접어야 하는 상황이 되고 있음에도 정부는 어떤 대책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이제 농촌도 외국인 근로자들이 없으면 땅을 놀려야 할 판이다. 그만큼 농기계의 비중이 높아가고 있음은 물론이다.

정부에서는 중국과 협의해 긴급 수입에 나서면서 당장 급한 불은 껐다고 하지만 요소수 대란이 단시일 내 해소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다. 또 농촌까지 제대로 공급될지도 의문시되는 상황에 불안은 여전하다. 더구나 중국발 요소수 대란에 따른 원자재가격 급등으로 요소비료 등 무기질비료 가격이 크게 오를 것으로 전망돼 농민들에게 또 다른 불안을 안겨주고 있다.

그동안 찬밥신세로 농민들의 소득은 도시노동자의 60% 수준에 머무르고, 농민들 간의 소득 격차도 10배 이상 벌어지고 있다. 이제 농촌지역의 소멸은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닌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도 정부의 대책만 쳐다보고 있을 것이 아니라 지역 실정에 맞는 처방과 대응전략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하겠다.

  

저작권자 © 영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