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군의 관문이자 지역주민들의 만남의 장소였던 시외버스터미널이 8월 9일부터 영암군의 직영 체제로 전환돼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민간사업자가 경영난을 이유로 폐업을 신청하면서 영암군에서 기존의 시설을 임대하여 직접 운영하게 된 것이다.

이처럼 민간사업자의 부도나 운영 포기로 지방자치단체가 터미널을 임대·운영하는 사례는 전남에서만 구례, 고흥, 장성 등 9개소에 달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인근 강진군에서도 버스터미널 운영업체가 부도 처리되면서 2018년부터 군에서 시설을 임대해 직영·운영하고 있으며, 광양과 함평은 2곳의 터미널을 직영하고 있다.

영암 버스터미널은 지난 1997년 지금의 영암읍 남풍리로 확장·이전할 때 만해도 지역의 관문이자 전남 서남부권 중간기착지로서 역할을 톡톡히 했다. 하지만 대중교통 보다는 자가용 등 교통여건이 변하면서 이용객이 급감했다. 지역주민들의 만남의 장소 등으로 각광받던 시외버스터미널의 영광은 옛말이 되고 말았다.

특히 코로나19가 장기화 되면서 버스터미널을 운영하는 민간사업자의 경영난은 더욱 가중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실제, 영암 버스터미널에서 시외를 오가는 직행버스 이용객은 코로나 이전 하루 평균 470여 명이었으나 이후 140여 명으로 70%가 줄어들었다. 교통편도 하루 72회에서 현재는 45회로 감소했다. 이 같은 이용객 감소는 매표 수수료와 상가 임대료 등의 경영수익 악화로 이어졌다. 현재 전체 상가 21개소 중 공실률은 절반에 가까운 43%에 이르고 있다. 이에 따라 수입이 바닥을 치면서 민간사업자는 누적된 적자를 감당하지 못해 폐업을 신청했고, 영암군은 이달 초 최종 폐업을 수리했다.

이용객 수가 줄었다고 시외버스터미널의 문을 닫을 수 없는 영암군은 운영업체 측과 1년 임대계약을 하고 직영 체제로 전환은 했지만 고민은 깊어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연간 임대료 1억5천만원에 운영인력 5명의 인건비 1억6천만원을 감안하면 연간 3억원이 넘는 예산을 쏟아부어야 할 형편이다. 게다가 농어촌버스 재정지원금 18억, 벽지노선 및 천원버스 손실보상 16억, 버스터미널 매표 손실보상 4천만원 등 연간 35억 가량을 공용버스 및 터미널 운영 손실보상금으로 혈세를 투입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해마다 군의 재정부담이 감당하기 어려운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저작권자 © 영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