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월 30일(제125호)

▲ 본사 대표이사 발행인

한때 340만명을 넘어섰던 전남도의 인구수가 올해를 기점으로 200만명대가 붕괴, 100만명대로 진입할 전망이라는 소식이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전국 주민등록인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전남의 주민등록 인구수는 총 205만9천여 명으로 전년대비 4만5천여 명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8년께부터 2만여 명 이상 줄어든 전남도의 인구수 감소 규모는 2001년 3만명, 2002년 4만5천명 등 증가세가 더욱 늘어나고 있으며 이같은 추세라면 올 연말께는 200만명대가 붕괴될 것으로 통계청은 추산하고 있다. 통계청이 분석한 전남도의 올해 추계 인구수는 199만5천여 명이며 내년에는 198만 1천여 명으로 줄어들 전망이라는 것이다.

이같은 전남도의 인구는 지난 72년 342만명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30여년만에 142만명이나 줄어든 것이며 지난 80년 200만명대로 떨어진 이후 13년만에 200만명대가 붕괴됐다. 이처럼 전남도의 인구수가 급격히 줄어든 것은 무엇보다도 급속한 산업화에 따라 전남도의 인구 대부분을 차지했던 농촌이 몰락한데다 취약한 전남의 산업기반으로 많은 주민들이 일자리를 찾아 타 시도로 이주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이를 반영하듯 농촌경제가 차지하는 비중이 전남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반면 산업기반 및 구조가 튼튼한 경북과 경남의 인구수는 지난해 말 현재 각각 277만여명과 314만여명을 기록, 전남과 대조를 보였다. 경북의 인구는 지난 70년에 비해 54만여 명이 줄어든 데 그쳤으며 경남은 오히려 35만여 명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전남도의 인구수가 2년 이내에 200만명대로 재진입하지 못할 경우 전남도청의 1국 4과 통폐합 절차를 밟게 되고 정부가 인구수를 감안해 지원하는 지방양여금 및 지방교부금도 크게 줄어들게 돼 있어 도세 및 지방재정 악화가 우려되고 있다.

그렇잖아도 가뜩이나 열악한 도세를 감안할 때 이같은 행·재정적 불이익은 새해를 맞는 도민들에게 결코 달갑지 않은 소식임에 틀림없다. 이웃한 전라북도의 경우도 지난 2002년 총인구수가 200만명대가 붕괴된 데 이어 올해도 200만명대를 회복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여 내년 상반기에는 전북도청의 기구축소가 불가피한 상황에 놓여 있다. 반면에 전남도의 만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지난해말 현재 전체 인구의 14.1%를 차지, 전국에서 가장 먼저 고령사회로 진입했다고 한다. 최근 전남도의 집곅뎔과 지난해말 현재 도 인구는 2백2만4천422명(외국인 6천692명 포함)이며 이중 65세이상 노인은 남자 10만6천107명, 여자 17만8천563명 등 28만4천670명으로 14.1%를 차지, 국내 최초로 유엔이 정한 고령사회로 들어섰다는 것이다.

이는 한국노동연구원이 ‘퇴직연금제도입을 위한 최종보고서’에서 1999년 ‘고령화사회’에 접어든 우리 나라가 2022년에 고령사회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한 것보다 훨씬 앞서 전남도가 고령사회로 진입했음을 의미한다. 유엔은 총 인구중 만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7%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이상이면 고령사회, 20%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만 놓고 보더라도 젊은이들은 떠나고 농촌에 노인만 남았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그동안 낙후된 전남의 현실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는 셈이다. 참여정부가 공약으로 내세운 ‘지역균형발전’은 그래서 더욱 호남사람들에게 절절하게 와 닿는 것이다. ‘公約’이 ‘空約’에 그쳐선 안될 것임은 너무나 당연하다.

저작권자 © 영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