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군, 특구 지정 환영…RE100, 에너지 기본소득 ‘탄력’ 에너지 자립도시 시책 ‘순풍의 돛’ 달다

■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 의미는?

2025-11-14     신준열 기자

에너지 기본소득, RE100 산단, 수소도시 등을 목표로 한 영암군의 에너지 자립도시 시책이 순풍에 돛을 달았다.

지난 5일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제36차 에너지위원회에서 전남·제주·부산·경기 4곳을 분산에너지 특구로 지정한데 따른 것이다.<관련 기사 12면>

전남지역 전체가 분산에너지 특구로 지정됨에 따라 에너지 자립도시를 골자로 미래 100년의 번영을 설계하고 있는 영암군의 정책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분산에너지 특구는 지역에서 전기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지산지소(地産地消)형 시스템을 도입해 민간 발전회사가 한전을 거치지 않고 기업·가정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장거리로 전기를 보내야 하는 대규모 송전설비가 필요 없어 한전보다 저렴하게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고, 다양한 에너지 신기술을 실험하는 규제 특례 등도 인정된다. 

올들어 지난 5월, 지정면적 145㎢ 규모로 솔라시도(영암·해남 기업도시)가 분산에너지 특구 최종 후보지에 올랐고, 이번 기후에너지환경부의 결정으로 지정면적 12만363㎢ 규모로 전남 전체가 특구로 지정됐다. 

영암군은 분산에너지 특구 혜택을 지역 전체가 누릴 수 있어 이번 지정을 환영하고 나섰다. 

특히, 인공지능 시대에 막대한 전력이 필요한 글로벌 기업을 영암에 유치할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을 반기고 있다. 

이미 오픈AI·SK 등 글로벌기업이 인공지능데이터센터 입지로 솔라시도(영암·해남기업도시)도를 결정했고, 앞으로 더 많은 기업이 영암을 포함한 전남으로 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영암군은 대한민국 에너지 대전환을 선도하는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정책을 추진 중이다. 

삼호·미암의 영암호 간척지를 중심으로 대규모 주민참여형 태양광단지를 조성해 생산한 전기로 기업의 RE100 달성을 견인하고, 에너지 신도시에 전기를 공급하며, 발전 이익으로 전 군민에게 에너지 기본소득을 지불하겠다는 복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