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특별지자체, 균형발전의 새로운 시험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가 새 정부의 ‘5극 3특’ 국토균형발전 전략에 발맞춰 특별지방자치단체 출범을 준비하고 있다. 더 나아가 행정통합까지도 염두에 두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 발전 구도의 큰 전환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진다.
주지하다시피, 우리 사회의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는 지방소멸 위기다. 농촌과 중소도시의 인구는 급격히 줄고 있으며, 수도권으로의 인구 집중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지방의 존립 자체가 흔들리는 상황에서 한때 활발히 논의됐던 행정구역 통합은 정치적 이해관계 속에서 뒷전으로 밀려나고 있다. 그러나 지금이야말로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행정구역 통합을 다시 추진해야 할 때다.
광주와 전남은 오랜 세월 한 뿌리로 얽혀 있으면서도 행정구역 분리이후 산업 정책, 인프라 투자, 인구 분산 문제에서 불균형을 겪어왔다. 전남은 지방소멸의 위기에 직면해 있고, 광주는 대도시 위상을 지키면서도 인근 지역과의 협력 부족으로 발전의 한계를 보여왔다. 이번 특별지자체 구상은 이러한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고 ‘호남권 공동체’로서 새로운 도약을 모색하는 중요한 발걸음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장밋빛 전망만으로는 부족하다. 특별지자체 출범이 단순히 행정 조직을 확대하는 형식적 조치로 끝나서는 안 된다. 산업 육성, 교통망 확충, 청년 일자리 창출 같은 실질적 성과로 이어져야 한다. 또한 행정통합 논의는 지역 주민의 동의와 사회적 합의가 전제되어야 하며,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흔들려서는 안 된다.
무엇보다 이번 시도가 수도권 일극 체제를 해체하고 지역 균형발전을 이루려는 국가 전략의 중요한 시험대가 될 것이다. 광주·전남이 협력의 모델을 성공적으로 만들어낼 경우, 이는 다른 지역에도 큰 자극과 이정표가 될 수 있다. 반대로 내부 갈등과 무능으로 흐른다면 ‘통합’이라는 명분조차 흔들릴 수 있다.
지금 필요한 것은 명확한 비전과 실행력이다. 광주와 전남은 서로의 차이를 극복하고 상생 발전의 길을 제시해야 한다. ‘광주·전남 특별지자체’가 진정으로 호남의 미래를 밝히는 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