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100 영암’을 주목한다
이재명 정부가 ‘RE100 특별법’을 제정한 가운데 영암군이 대불국가산단을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 허브 △해상풍력 기자재 특화단지 △에너지자립 그린시티를 조성하는 청사진을 제시하고, 국정기획위원회에 국정과제로 포함시켜 줄 것을 건의, 성사 여부가 주목되고 있다.
정부의 ‘RE100 특별법’은 RE100 산단기업 유치와 에너지 신도시를 촉진하기 위해 입주기업 규제 제로 및 전기요금 할인 차등제 도입, 교육·정주 여건 파격 개선 등을 법에 담아 지원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는 재생에너지 100%로 제품을 생산하는 RE100의 세계적 확산, 국내 산업계의 RE100 수요 증가 등에 따른 것이다.
특히 ‘RE100 산단’은 재생에너지 공급이 풍부한 지역에 첨단기업을 유치하고 에너지 자립을 도모하는 것이 핵심으로 정부에서는 전남 서남권 지역을 언급한 바 있다. 영암군은 대불산단이 바로 이 같은 조건에 가장 부합하는 ‘최적지’ 임을 내세워 조만간 ‘RE100 TF(테스크포스)’ 신설과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100 조성 추진단’을 구성하는 등 의욕적으로 팔을 걷어부치고 나섰다.
영암지역은 1일 평균 3.6시간의 일조시간, 대불산단 등 전력 최대 수요처를 보유해 RE100 실현의 최대 입지를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더구나 지난해부터 대불산단 일원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정부에 건의해 올 하반기 지정을 눈앞에 두고 있으며, 이미 조성된 산업단지인 대불산단은 HD현대삼호 등 기업들이 입주해 재생에너지 수요가 충분하다는 점에서 타 지역과 차별화되고 있다. 더욱이 지역균형 발전과 산업재편 측면에서 큰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다. 반면, 새만금이나 솔라시도는 장기적 인프라 확장 기반은 있지만, 즉시 전환과 현실성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뒤처지고 있다는 평가다.
영암군은 새 정부의 정책 기조에 맞춰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정책으로 국토 서남권 경제의 주축인 대불산단을 호남권 재생에너지 초광역 경제권의 한 축으로 도약시키는 한편, 국가균형발전의 모범 사례로 만든다는 복안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주민 수용성, 환경영향평가, 농지 전용, 송전망 준비 등 현실적인 문제도 대두되고 있있다. 특히 RE100 산단의 핵심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공급하는 것이지만, 현재 전남을 포함한 국내 대부분 지역에서 재생에너지 단가는 일반 전력 대비 높아 기업유치의 장벽이 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이 또한 간과할 수 없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