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인구, 기회의 요인으로

2025-08-08     영암신문

주민등록인구가 ‘지역에 주소를 두고 있는 사람’을 기준으로 한다면, 생활인구는 주소에 관계없이 실제로 어느 시점에 그 지역에 머무르고 있는 사람들을 반영한다. 행정안전부는 이동통신 데이터와 행정자료를 기반으로 지역별 생활인구 통계를 정기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영암군의 생활인구는 2024년 10월부터 12월까지 3개월 평균 27만4천51명을 기록했다. 이는 담양군(39만8천257명), 화순군(34만3천216명), 장성군(29만9천560명), 해남군(27만8천789명)에 이어 전남에서 다섯 번째로 높은 수치다. 영암군의 주민등록인구가 약 5만 명, 외국인 거주자 1만 명 수준을 감안할 때 생활인구는 등록인구의 약 3.5배에 이른다.

영암군이 ‘2024년 4분기 생활인구 통계’에서 전라남도 내 5위를 기록한 것은 상당히 주목할 만한 성과로 분석된다. 특히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된 전남 16개 시·군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주민등록인구 대비 약 3.5배에 달하는 생활인구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은 매우 이례적이며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영암군의 생활인구가 높은 데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국립공원 월출산, 기찬랜드 등 다양한 자연자원과 영암 F1 경기장 등 전국 단위 행사, 대불산업단지에서 근무하는 외부 근로자 유입 등을 꼽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생활인구 기반정책 전환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기존 행정은 주민등록인구를 중심으로 자원 배분과 행정계획을 수립해 왔지만, 생활인구는 실제 지역 내 거주·이동·체류하는 인구를 반영하기 때문에 행정서비스의 실질 수요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지표다. 체류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는 교통, 치안, 환경, 위생 등 실질적인 서비스 수요가 등록인구보다 클 수 있고, 공공 인프라(도로, 화장실, 쓰레기 처리 등)의 적절한 관리가 더욱 중요해진다.

그러므로 생활인구를 정주인구로 전환하기 위한 주거, 교육, 의료 인프라 확충이 요구된다. 또 단기 방문보다 체류 유도형 관광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영암군의 사례는 ‘인구감소가 곧 쇠퇴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오히려 생활인구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행정과 지역 활성화 전략이 병행된다면, 인구구조의 제약을 뛰어넘는 새로운 지역 모델로 거듭날 수 있다. 생활인구에 대한 행정의 관점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