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렴도’ 단체장 의지가 좌우한다

2025-01-10     영암신문

국민권익위원회가 실시한 2024년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영암군과 군의회가 나란히 4등급의 성적표를 받았다. 국민권익위원회는 매년 12월 초, 정부기관, 지자체 등에 대해 업무를 직접 경험한 국민, 공직자들을 대상으로 내·외부 청렴도 설문조사 결과와 부패사건 발생 여부 등을 반영한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 결과를 종합해 1~5등급으로 구분해 평가한다. 이에 따라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결과가 발표되는 12월이면 각급 기관마다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불명예를 얻지 않으려는 기관들은 청렴도 향상에 총력을 쏟고 있음은 물론이다.

영암군 또한 그동안 다양한 ‘청렴 문화’ 환경을 조성하여 군민에게 신뢰받는 공직사회 구축에 노력해왔다. 그러나 영암군은 2023년보다 2단계나 떨어진 4등급의 초라한 성적표를 지난해 받아 쥐었다. 영암군은 지난해 ‘청렴한 영암 구현’을 목표로 반부패 청렴도 향상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청렴 문화 확산에 나섰지만 오히려 퇴보한 결과를 낳은 것이다.

반면, 도내에서 유일하게 1등급을 받은 보성군은 3년 연속 최고 등급을 받아 부정부패 없는 ‘클린 행정’의 대표 모델로 떠올랐다. 보성군의 청렴도는 처음부터 1등급은 아니었다. 2018년 당시 4등급이었으나 민선 7기가 출범하면서 2019년 3등급, 2020~2021년 2등급으로 꾸준히 상승했다. 이어 민선 8기가 시작된 2022년 호남에서 유일하게 1등급을 달성했으며, 2023년에 이어 2024년에도 1등급으로 위상을 굳건히 하고 있다.

이 같은 배경에는 민선 7기부터 보성군수로 취임한 김철우 군수의 제1호 결재는 ‘반부패 청렴’ 대책이었다고 한다. 군수를 비롯한 간부 공무원이 적극적으로 주도해 조직 내 강력한 반부패 추진 의지를 표방하고, 외부고객 대상 민원처리 과정을 상시 모니터링한 뒤 사후 관리에도 철저를 기해 부패 요인을 사전에 차단하고 나선 것이다. 실제, 공사·용역·물품·보조금 등 민원에 대해 ‘청렴 해피콜’ 제도를 도입하고, 소극행정·부정청탁·특혜제공에 대해 단체장이 강력하게 실천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결국, 하위 공직자들에 대한 지속적인 청렴 교육도 중요하지만, 단체장의 청렴 실천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이다. 한 사례로, 단체장이 바뀔 때마다 불나방처럼 몰려드는 측근들의 이권개입을 차단하지 못하고 묵인·방조하는 한 ‘청렴 영암’은 보여주기식 행정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올 연말 성적표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