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값 폭락, 정부의 조속한 대책을

2024-06-28     문배근 기자

2012년 1월 5일 전국 한우 축산농가들은 소값 폭락 항의 시위를 하기 위해 트럭에 소를 싣고 청와대로 향했다. 당시 한우 가격은 공급 과잉으로 인해 2년 전의 반 토막 수준으로 폭락했다. 사료 가격까지 치솟아 전국의 축산농가들이 아우성이었다. 수송아지 한 마리가 단돈 1만 원에 거래되고, 지방 농가에서는 한우 도축을 미루다 소를 굶겨 죽이는 일까지 벌어졌다.

그 후 12년 만에 전국의 축산농가들이 상경해 ‘한우 반납 집회’에 나선다고 한다. 한우농가들이 또다시 머리에 띠를 두르고 애지중지 키우던 소를 반납하기 위해 거리에 나서게 된 것은 현재 그들이 생존의 기로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2012년 당시 한우 농가들은 청와대와 기획재정부 등에서 집회를 열고 전국 각지에서 소 떼를 몰고 와 정부에 반납하는 퍼포먼스를 진행하려다 경찰의 저지로 무산된 바 있다. 올해는 대통령실이 있는 서울 용산과 국회,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농협중앙회 등을 검토 중이라고 한다. 한우 반납 투쟁은 ‘소를 키우면 키울수록 매년 빚만 쌓이고 있으니, 반납한 한우를 정부가 알아서 키우라’는 의미라는 것이다.

실제, 올해 한우 값은 공급 과잉과 소비 위축 등 영향으로 큰 폭 하락했다. 농림축산식품부 자료를 보면, 올해 1~5월 한우 도축 마릿수는 39만 마리로, 전년 동기(36만 마리) 대비 8.4% 증가했다. 한우 연간 도축 마릿수는 2022년 86만9천 마리, 지난해 92만9천 마리, 올해 97만5천 마리(추정)다. 지난해와 올해의 경우 평년(75만6천 마리) 대비 각각 24%, 29%가 많다. 결국, 공급이 수요보다 늘면서 가격은 하락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사료비와 인건비 등 생산비 상승으로 농가 손실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농가들은 마리당 최고 400만 원까지도 적자를 보고 있다고 하소연한다. 그렇지만 소비자 가격은 그대로다. 여전히 유통구조의 문제점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 더구나 지난달 윤석열 대통령이 국회를 통과한 도축·출하 장려금, 경영개선자금 등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 ‘한우 산업을 위한 지원법’(한우법)을 거부함으로써 한우농가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정부는 지금이라도 한우 농가들의 목소리를 경청하여 수급 안정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세워 더 이상 불행한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