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형 ‘신 농업정책’을 주목한다
영암군이 최근 1억 농부 500명, 청년농업인 1천명 육성을 목표로 ‘농정대전환 프로젝트’를 발표한 가운데 오는 2027년까지 농가 평균소득을 7천만 원으로 높이는 ‘영암형 신 농업정책’을 추진키로 해 주목받고 있다. 즉 단순하게 보조금을 집행하고, 중앙정부와 전라남도의 지침을 전달·대행하던 농정이 아니라, 통계에 입각해서 영암의 실정에 맞는 우리만의 농업정책을 마련하자는 것이다.
영암군이 농업부문 혁신 방안인 농정대전환을 선언한 배경은 크게 5가지로 요약된다. △쌀 소비량 지속 감소 및 쌀값 반복·지속 하락 △1차 생산 중심 농업 △고령화 및 기후위기 가속 △보조 및 연례 반복사업 관례화 △농업인-행정 소통 및 협치 농정 난항이라는 현실이 자리하고 있다. 이 같은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해 △소비자 중심 맞춤형 쌀생산 및 농가소득 다양화 △2·3차 유통·가공산업 확대 재편성 및 고부가가치 창출 △청년농 대규모 육성 및 첨단 스마트농업·데이터 과학영농 실현 △보조사업 혁신 △농업인(단체)-군-의회-농협 협치농정 체계 구축으로 혁신의 방향을 잡았다.
또한 ‘계획농업’ ‘스마트농업’ ‘협치농정’의 3대 기치 아래 농정대전환으로 ‘영암형 선진농업’을 실현하겠다는 목표다. 올해를 농업혁신 원년으로 삼은 영암군은 6개의 세부 전략과제로 △1억 농부 500명 육성 △미래농업 선도 청년농 1천명 육성 △스마트팜 100배 확대 △유통·가공·판매 예산 2배 확대 투자 △농정분야 탄소배출 40% 감축 △한우 고급육 육성 전국 1위 △농가 평균소득 7천만 원 달성 등 모두 7개 비전을 실현하는 내용의 로드맵을 발표했다.
당면한 농촌문제를 극복하고 미래농업에 대비한 지속가능한 농업을 실현하는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는 ‘영암형 신 농업정책’은 농업전문가가 영암의 강점과 단점에 대해 분석자료를 바탕으로 영암농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앞으로 그 성공 여부에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역소멸 위기에 처한 현실에서 영암의 미래농업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대안이 제시됐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시책이라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