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정대전환 프로젝트’의 성공을 기원하며
영암군이 1억 원 농부 500명과 청년농업인 1천명 육성, 스마트팜 100배 확대를 골자로 한 ‘농정대전환 프로젝트’를 추진키로 해 주목받고 있다. ‘농정대전환 프로젝트’는 쌀 소비량 감소 및 가격 하락, 1차산업 중심 농업, 청년농 부족 및 농업인구 고령화, 농촌소멸 등 당면한 농촌문제를 극복하고 미래농업에 대비한 지속가능한 농업을 실현하는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다.
영암군은 이를 위해 지난 19일 군청에서 주민 등 3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공청회를 갖고 민선 8기 농정혁신의 대장정을 알렸다. 이날 우승희 군수가 밝힌 농정대전환의 프로젝트는 △현재 272명의 1억 농부를 2026년까지 500명으로 확대 △미래농업을 선도할 청년농업인을 309명에서 2030년까지 1천 명으로 육성 △청년농 육성 전초기지인 스마트팜을 현재보다 100배로 확대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계약재배와 공선출하 실시 △유통·가동·판매 분야에 현재보다 2배 예산 투자 △2030년까지 농정분야 탄소배출 40% 감축을 위해 영농부산물 파쇄단 운영, 친환경비료 지원, 메탄 저감사료 공급 등을 제시했다.
또 전문가가 영암군의 강점과 단점에 대해 분석자료를 바탕으로 영암농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도 제시됐다. 즉, △소득중심 식량작물 생산 및 전략작물 산업화 구축 △농산물 부가가치 향상 융복합 농식품산업 육성 △K-웰니스도시 활성화 힐링농업농촌 구현 등이 제안돼 관심을 모았다.
그리고 분야별 농업전문가 및 관내 조합장이 참여하는 토론회와 군민들이 즉석에서 질의응답 시간을 갖고 영암의 미래농업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대안을 논의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공청회였다고 평가된다.
사실, 지금 농촌은 생사의 기로에 서 있다. 영암군을 포함한 전남은 목포·여수·나주 등 도시권 6개 지역을 제외한 16개 시·군이 인구감소 지역으로 분류돼 지역소멸 위기감이 커지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농정혁신의 대전환이 이뤄지지 않는 한 수년 내 지역소멸은 바로 눈앞의 현실로 닥칠 것이 분명해 보인다.
영암뿐만 아니라 전국의 농민단체들이 생존권을 요구하며 해마다 거리로 나서 절규하는 것도 벼랑 끝에 선 농업·농촌의 문제가 너무나 절박하기 때문이다. 최근 과채류 등이 폭등하면서 물가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지만 표면적인 얘기만 나올 뿐 근본적인 처방은 도외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무쪼록, 영암군의 ‘농정대전환 프로젝트’가 성공리에 추진돼 우리나라 농업·농촌을 살리고, 지역 소멸위기를 극복하며, 타 시군의 모범사례가 되길 간절히 기원해 마지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