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이 잘 사는 길?
2004-12-03 영암신문
최근 영암군에서도 현실을 인식하고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한 처방을 내놓고, 인구배가 운동 등 종합대책을 수립, 범군민 운동으로 확산시키고 있다. 지역 중소기업제품 사주기, 내 고장에서 생활하기, 범군민 에너지 절약운동, 농특산물 직거래망 구축을 통한 농가소득 증대 등 갖가지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J프로젝트 개발계획에 의해 해외자본이 투자될 것으로 보인다. 월출산 자락을 따라 ‘氣 웰빙도로’를 개설하고, 명문학교 육성을 위해 군민은 물론 각 기관단체의 노력이 활기를 띠고 있다.
앞에서 열거한 모든 계획이 차질없이 시행되어 상승효과가 나오면 영암의 미래는 달라질 것이다. 더욱이 기업도시가 영암에 꼭 유치되어 지역발전의 획기적인 전환점이 마련되었으면 한다. 이를위해 각종 규제완화, 행정적 지원과 서비스를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와함께 예전에도 거론되었던 계획 하나를 제안하고자 한다. 영암은 남도의 ‘소금강’이라는 빼어난 ‘월출산’을 소유하고 있는데, 우리 군의 심벌인 ‘월출산’을 잘 활용하면 많은 이익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는 사람이 많다.
얼마전, 출향인 중 한 인사는 ‘영암신문’에서 ‘월출산을 팔자’란 제하의 글을 통해 모든 방법을 동원해 월출산을 팔자고 했다. 따라서 필자는 월출산에 ‘케이블카(삭도)’를 꼭 설치하여 한국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관광지로 만들자는 것이다. 만일 정부 승인이 안날 때에는 자치단체와 사회단체가 연합하여 대정부 투쟁을 벌여서라도 사업승인을 받아내야 할 것이다. 승인이 난 후에는 ‘영암삭도주식회사’를 설립하고 영암군이 ‘대주주’로 군민주를 모집하여 자치단체의 수익사업으로 운영했으면 한다.
인근 ‘보성’의 ‘해수 녹차탕’에서도 볼 수 있듯이 군이 연 수억을 벌어들이고 있지 않은가. 이렇듯 자치의 시대에 군이 전면에 나서 수익사업을 벌여야 하고, 민관이 힘을 합쳐 ‘올인’ 전략을 펴야한다. ‘삭도’는 환경파괴가 가장 적은 첨단시스템으로 설치해야 할 것이다. 이 사업과 병행할 것은, 세계에서 제일 규모가 크게 조명등(일명; 트리)을 월출산 정상 부근에 설치, 밤에도 월출산야경을 감상할 수 있게 하고, 또 천황봉 맥반석에서 발산하는 기를 받게 한다면 그 파급효과는 대단할 것이다.
이와같은 프로젝트가 완성된다면 일자리 창출은 물론 스치는 관광이 아니라 머무는 관광으로 일대전환이 되어 영암은 활기가 넘치는 농업과 관광, 역사와 문화가 함께 숨쉬는 잘 사는 고을로 변할 것은 뻔한 이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