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보건소, ‘당직의료기관’ 4년
감기·찰과상 등 경미한 수준의 환자진료에 그쳐
연간 운영비 2~3억, 1일 평균 6~8명 이용 불과
고령화사회 지역여건…야간의료공백 대책 절실

영암군이 보건소에 지난 2016년 11월 25일 ‘당직의료기관’으로 지정받아 365일 24시간 평일 야간과 주말, 공휴일에 운영하고 있으나 경미한 수준의 환자위주의 진료에 그쳐 항구적인 응급의료 체계구축이 시급하다.

군 보건소에 따르면 현재의 보건소 내 당직의료기관은 경미한 수준의 환자만 진료하고, 촌각을 다투는 응급환자인 경우는 인근 대형병원을 이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첫해 124명에서 2017년 2천285명, 2018년 3천254명, 2019년 현재 1천140명 등 지금까지 총 5천663명이 이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감기환자 1천735명, 찰과상 환자 1천108명, 소화기계통 1천843명 등이다. 1일 평균 환자수는 2016년 3.35명, 2017년 6.26명, 2018년 8.92명으로 10명 내외에 그치고 있다.

이에 비해 인건비를 포함한 운영비는 2016년 6천100만원, 2017년 2억2천900만원, 2018년 2억7천700만원으로 해마다 증가 추세에 있으며, 지난 3년간 총 5억6천700만원이 소요됐다.

현재 공중보건의사 6명, 기간제 간호사 3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인건비로 4억3천만원을 지출했다. 의료장비는 제세동기, 심전도기, 환자 모니터, 산소 호흡기, 봉합세트 등 기본적인 응급의료 장비만 갖추고 있을 뿐이다.

이처럼 군보건소의 당직의료기관이 응급질환자의 간단한 처치와 약 처방에 그쳐 생명이 위독하거나 위급한 환자는 목포, 나주 등지의 병원으로 이송할 수밖에 없다. 즉 촌각을 다투는 환자들의 경우 골든타임을 놓쳐 치명적인 상황에 이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실제, 보건소 당직의료기관에서 119 구급차를 이용한 응급환자 이송 건수는 2016년 9건, 2017년 45건, 2018년 44건, 올 들어 현재 3건 등 그동안 98건에 이른 것으로 파악됐다.

군 보건소는 당직의료기관 개소이후 경찰서·소방서와 협약을 체결하고 응급환자에 대비하고 있다. 하지만, 갈수록 여름철 폭염 등 이상기온이 심한데다 최근 고령화사회로 진입하면서 교통사고 등 응급환자가 많은 지역여건을 감안하면 야간 의료공백에 대한 대책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이는 지난 4월 영암군민 ‘100인 원탁토론회’에서도 ‘응급실 개원’이 56표를 얻어 전체 36개 사업 가운데 가장 많은 관심사로 대두됐다. 토론 참가자들은 문재인 정부에서 ‘안전과 생명’을 최고 가치로 여기고 있지만 현재 영암군은 응급실이 없어 군민들의 생명보호에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우승희 도의원(민주당, 영암1)은 “야간 응급의료 공백의 해소를 위해 도비지원 등 전남도 차원의 노력과 함께 ‘공공 응급실’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 의원은 “충북 단양군 ‘공공 응급실’의 경우 지역응급 의료기관이 휴업함에 따라 2015년 4월부터 단양군보건소를 응급의료기관으로 운영하다 2017년 6월부터 단양군립노인요양병원에 6개 진료과목을 둔 ‘공공 응급실’을 운영하고 있다”며 이 같은 방안을 제시했다.

한 주민은 “갑자기 한 밤중에 환자가 발생하면 급히 가까운 응급실을 이용해야 하지만, 응급실이 없는 영암은 인근 나주 또는 목포 등지로 갈 수밖에 없어 시간을 다투는 환자들은 생명에 위협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전남도내에 응급의료기관이 없는 지역에 24시간 응급실을 운영하도록 시장군수가 지정하여 지원하는 당직의료기관은 영암, 함평, 완도, 신안 등 모두 4개 군이다.

한편 보건복지부가 조사한 국민보건 의료실태 통계 중 ‘2017년 의료기관 소재지 응급환자 수’자료에 따르면 영암군은 2011~2016년 5년 사이에 응급환자가 14.2%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역별 수술 입원환자의 자체 충족율’은 전남이 54.8%로 전국하위 수준이며, 시군별로는 담양 곡성 영암 함평 완도 진도 신안 등 7개 군이 10%도 되지 못해 전남에서도 지역 간 의료복지 불균형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영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