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단위에선 보기 드물게 4년제 종합대학과 2년제 특성화대학을 두고 있는 곳이 영암이다. 국가산단과 지방산단이 동시에 있는 곳도 영암일 것이다. 최근 20여년 사이에 전남에서 읍 승격이 이뤄진 곳도 영암군이 유일하다.

이 때문에 영암군이 한국지방자치 경쟁력지수(이하 KLCI) 조사결과 수년째 전국 수위를 차지하고 있다. 경영자원, 경영활동, 경영성과를 총괄하는 종합경쟁력 부분에서 전남도내 1위는 물론 전국 군단위에서도 4위를 차지하는 등 성장역량을 공인된 기관에서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세한대학(구 대불대학)과 동아보건대(구 동안인재대)가 교육부에서 발표한 ‘역량강화대학’에 포함돼 당장 내년부터 학생정원을 줄여야 하는 ‘구조조정’ 대학으로 분류됐다. ‘인구소멸’ 위험지역에 이은 달갑지 않은 소식이다. 조선업 불황여파로 인구유출이 심화되고 있는데 따른 경고음이 여기저기서 들려오고 있다.

솔직히, 대학이 두 곳이나 됐지만 지나온 날들을 돌이켜 보면, 이들 대학들이 지역에 무슨 기여를 했는지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최근 교육부의 발표는 어쩌면 당연한 결과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점차 스러져가는 대학의 현실을 보면서, 대학의 지역 기여도를 논하기에 앞서 우리 지역의 불확실한 미래가 걱정스럽다.

사실, 전남의 시 단위 가운데 광양시, 순천시, 여수시, 나주시와 군 단위 중 무안군을 제외하면 전남도내 대부분이 인구 소멸위험 지역에 포함된다. 더욱이 인구 소멸위험 지역은 광역시로 확대되고 있으며, 지방 제조업 위기가 인구유출을 더욱 가속화시키는 요인으로 지목됐다.

따라서 국가 차원에서 지역균형 발전이 인프라 중심뿐만 아니라 교육, 문화 등 소프트웨어 혁신이 되도록 획기적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지역의 뜻있는 인사들이 영암교육의 현안을 타개하기 위해 ‘영암교육공동체’를 출범시킨다고 한다. 좌시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는 현실적 판단이 이들을 한데 뭉치게 한 것이리라. 그동안 많은 단체들이 거창한 구호를 내걸고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지만 영암교육에 머리를 맞대고 현안을 타개하기 위해 나선 자발적 조직은 처음이다. 단순히 기존의 단체에 이름 하나 더 얹어 보조금을 타내거나 특정 이해집단으로 전락하는 일이 없도록 바라면서, 앞으로 이들의 활동에 기대를 건다.

저작권자 © 영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