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농민항일독립운동 기념사업회가 지난 달 20일 창립총회를 갖고 공식 출범했다. 지난해 전라남도 조례로 ‘전라남도 항일독립운동 기념사업 지원조례안’이 발의되고 첫 공청회가 영암에서 열린 이후 학술세미나도 이날 함께 열렸다. 이로써 영암에서 항일독립운동에 참여한 애국지사들의 독립정신을 재조명하고 기념 및 추모사업 등이 본격적으로 전개될 전망이다. 만시지탄의 감이 없진 않지만 퍽 다행스런 일이다.

1932년 6월 4일 영보 형제봉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운동은 소작권 문제와 결부된 농민들의 항일운동이었다. 하지만 사회주의 세력이 가담한 형제봉 사건으로 축소되었다. 해방 이후에는 이념문제를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독립유공자로 인정받지 못했다. 일제식민지 시기 항일운동에 나섰던 사람들은 빼앗긴 나라를 되찾는 것이 목표였지 좌익과 우익이 따로 없었다.

하지만 청산되지 못한 역사는 항일독립 애국정신에 색깔 논쟁을 덧씌워 편 가르고 짓눌려야만 했다.그 동안 당사자와 후손들이 겪어야 했던 억울함은 이루 말로 다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당시 74명이 재판을 받았는데 이 기록은 전국적으로 가장 큰 항일농민운동으로 기록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된 사실조차 알려져 있지 않았다.

문재인 대통령은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한다는 말이 사라져야 한다. 독립운동가 자손들 한 분이라도 더 찾겠다. 독립운동을 기억할 수 있는 유적지는 모두 찾아내겠다. 잊혀진 독립운동가를 끝까지 발굴하고, 유적지를 보전하겠다.”고 천명했다.

그러면서 “애국은 오늘의 대한민국을 있게 한 모든 것. 애국은 보수와 진보로 나눌 수 없다. 독립운동가, 한국전쟁과 베트남 참전용사, 청계천변 다락방 여공 등 애국하는 방법은 달랐지만 그 모두가 애국자다. 애국의 역사를 통치에 이용한 불행한 과거를 반복하지 않겠다”고 했다. 현충일 추념사와 광복절 경축사에서 한 말이다.

늦었지만 분단 현실과 이념적 잣대 때문에 그동안 감추고 왜곡됐던 항일독립운동이 재조명되고 현장에는 표지판이라도 세워 역사교육 현장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영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