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강 하구에 둑이 만들어진 지 올해로 36년이 흘렀다.
1978년 착공해 1981년 12월 완공한 영산강 하굿둑은 영암군 삼호읍 산호리와 무안군 삼향면 옥암리 사이를 연결해 영산강과 바다를 갈라놓았다.
하구둑 축조로 인해 농업용수는 확보됐지만, 수질오염·생태계 훼손 등 환경훼손은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다.
더욱이 이명박 정부 시절 실시된 ‘4대강 사업’은 영산강을 더욱 피폐하게 했다.
실제, 영산강의 수질오염은 심각한 수준을 넘어섰다.
광주환경운동연합이 지난해 7월 4대강 조사위원회를 꾸려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영산강 유역 4개 지점인 담양댐·승촌보·죽산보·하구언의 퇴적물 오염수준은 ‘매우 나쁨(4등급)’ 수준으로 조사됐다.
영산강 수질개선 문제는 2000년대 중반부터 전남도를 주축으로 전국에서 가장 먼저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다.
그러나 여러 이유로 일시 중단됐고 현재로서는 후발주자인 금강, 낙동강 해수유통보다 훨씬 뒤처진 상태다.
최근 영산강 하구에 해수를 유통시켜야 한다는 요구가 다시 본격화되고 있다.
영산강 관련 환경단체, 사회단체, 수산인 단체 등으로 구성된 ‘영산강 생태복원을 위한 광주·전남 시민단체협의회’는 지난 4월 26일 오전 삼호읍 영산강 하구언 인근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해수 유통으로 영산강 생태를 복원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나섰다.
영암군 사회단체협의회장단도 참가한 이날 대회에서 “1981년 하굿둑 준공 이후 영산강 수질이 지속적으로 나빠져 4대강 중 최하위 수준으로 전락하고, 이에 따라 어족자원과 갯벌, 습지면적의 감소 등 생태적 환경적 가치를 훼손하는 결과를 초래했다”면서 “해수를 유통하면 기수(汽水, 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 구역이 형성되어 기수성 어종과 해수성 어종이 증가하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해수유통을 촉구했다.
만약 영산강 하굿둑이 개방된다면 시급한 환경복원 이외에도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크게 환영할 만한 일이다.
다행히, 전남도에서 영산강 하굿둑의 부분 해수유통 방안 등을 포함한 연구용역에 들어갔다고 하니 기대가 자못 크다. 

저작권자 © 영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