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지지부진한 분양률을 보이면서 낙후의 상징처럼 여겨졌던 삼호지역 대불산업단지가 어느사이 분양을 마치고 활기찬 모습을 보이고 있다.

대불산단이 조성에 들어간지 실로 17~18년만의 일이다. 최근에는 공장용지가 부족해 기존 녹지지역을 일부 해제해야 한다는 여론도 일고 있는 실정이다.
 
대불국가산단이 조선업종 관련산업의 호황에 힙입어 100%분양 완료되면서 활력을 되찾고 있지만, 공장용지 부족으로 고부가가치 산업을 유치하는데 어려움이 많고, 기존 공장용지 부족현상으로 토지가 폭등함에 따라 기업 채산성이 떨어져 신규 기업들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격세지감이랄까. 십수년간 분양이 지지부진했던 대불산단이 지난해말 비로소 분양에 마침표를 찍게 된 것은 조선산업의 기여가 절대적이었던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대불산단에 풀어야 할 숙제가 산적해 있는 상황이다. 우선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짚어보자. 내실있는 기업이 들어서고 고용창출이 보다 많이 이뤄지게 하는 것은 황금어장을 내준 지역민들에게 조금이나마 보답하는 길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작 현재 입주기업 상당수는 우리의 기대치와는 전혀 상반된 고용구조를 갖고 엉뚱한 피해를 양산하고 있다.

예를 들면, 현대삼호중공업을 모태로 하청업체가 대다수인 조선산업 관련업체들은 1차 도급으로 끝난 게 아니라 2차 도급으로 이어지면서 많은 폐해가 발생하고 있다.
 
그 뿐만이 아니다. 산단관리에 따른 재정난도 문제다. 영암군은 대불산단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해 매년 50억원 정도가 소요돼 재정압박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2004년에는 대불산단 관리가 전라남도에서 영암군으로 이관됐지만 관리인력이 반영되지 않고 행자부 기준 표준정원이 초과되면서 교부세 13억원을 받지 못한 억울한 사례도 있었다.

지금은 그 문제가 해소되고 관리인력도 크게 줄였지만, 여전히 '청소부' 역할에 행·재정적 손실을 감수하고 있다.
 
게다가 대불산단 도로가 노후되거나 파손상태가 심해 교통사고 발생 증가에 따른 인명·재산피해도 급증하고 있어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이는 당초 석유, 화학, 자동차, 철강산업단지 조성을 전제로 기반시설이 이뤄졌던 대불산단이 조선산업이 주를 이루면서 대형선박 블록운송 등에 따른 것이다.

도로가 누더기처럼 되어 사고위험이 크지만 '산업단지내 도로'라는 이유로 국비지원이 막히면서 전체 덧씌우기 공사를 하지 못한 채 '땜질공사'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인해 이곳은 해마다 교통사고 천국의 불명예를 안고 있다. 이명박정부 출범초 유명해진 '전봇대 사건'도 그런 맥락이다.
 
더구나 고용창출 효과가 많은 업종들이 들어서 지역주민들의 기대에도 부응해야 했지만, 실제는 들러리로 전락하고 말았다.

1989년 11월 노태우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첫 삽을 뜨던 날, 대대손손 가난의 대물림에 지쳐있던 우리 지역민들은 쌍수(雙手)를 들어 환영했다.
 
하지만 지금 대불산단의 현주소는 지역민들에게 큰 혜택은 고사하고 갖가지 문제점만 노출된 채 지방자치단체만 속앓이를 하고 있다.

저작권자 © 영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